새해맞이 풍성한 명품 선율… 2024년 맞은 클래식계 ‘청룡이 나르샤’

새해맞이 풍성한 명품 선율… 2024년 맞은 클래식계 ‘청룡이 나르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1-08 01:24
수정 2024-01-08 1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 1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새해를 맞아 불꽃놀이가 펼쳐지고 있다. 류재민 기자
지난 1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새해를 맞아 불꽃놀이가 펼쳐지고 있다. 류재민 기자
연말 음악회부터 신년 연주회까지. 클래식 음악계가 2024년 푸른 용의 해를 전후해 풍성한 명품 선율을 선보이며 승천하는 용처럼 힘차게 새해를 열었다.

지난해 12월 31일에는 한국 클래식 음악 공연장을 대표하는 양대 기관인 롯데콘서트홀과 예술의전당에서 뜻깊은 음악회가 열렸다. 롯데콘서트홀은 오후 5시 정명훈과 원코리아 오케스트라가 연말 단골 작품인 베토벤 제9번 교향곡 ‘합창’을 선보였다. 앞서 서울시향, KBS교향악단 등도 합창을 선보였지만 정명훈의 남다른 내공과 오케스트라 드림팀인 원코리아의 환상적인 연주, 국내 최정상 성악가들과 합창단의 웅장한 목소리가 가슴을 울렸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12월 31일 롯데콘서트홀에서 선보인 합창 공연 장면. 롯데콘서트홀 제공
지난해 12월 31일 롯데콘서트홀에서 선보인 합창 공연 장면. 롯데콘서트홀 제공
예술의전당에서는 오후 10시에 ‘2023 예술의전당 제야음악회’가 열렸다. 해마다 연말에 열리는 행사로 올해는 지휘자 이병욱이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를 지휘했고 2022 롱티보콩쿠르 우승자 피아니스트 이혁, 세계적인 트럼페터 세르게이 나카리아코프가 협연자로 함께했다.

이날 공연은 쇼스타코비치의 ‘축전 서곡 Op.96’으로 힘차게 문을 열었고 이혁이 무대에 올라 츠파스만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재즈 모음곡’을 연주했다. 소련에서 재즈 음악이 자유로울 때 작곡된 곡으로 낭만 가득한 선율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나카리아코프가 하이든의 ‘첼로 협주곡 C장조’를 플뤼겔호른 버전으로 선보인 후 마지막으로 스트라빈스키의 ‘불새’가 울려 퍼졌다. 앙코르로 슈트라우스의 ‘라데츠키 행진곡’을 선보인 후 새해맞이 카운트다운과 함께 아름다운 불꽃이 밤하늘을 수놓았다.
이미지 확대
이혁이 국립심포니와 함께 협연하고 있다. 예술의전당 제공
이혁이 국립심포니와 함께 협연하고 있다. 예술의전당 제공
지난해 개관한 경기 부천아트센터 역시 첫 제야음악회로 화려하게 2023년을 마무리했다. 지휘자 최수열과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피아니스트 박재홍, 소프라노 홍혜란, 테너 정호윤이 함께해 공연장의 첫 제야음악회라는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새해 본격적인 클래식 음악 공연의 첫 포문은 공연기획사 마스트미디어가 준비한 명실상부 현존 최고의 피아니스트 크리스티안 짐머만의 무대가 활짝 열었다. 짐머만은 3일과 5일 롯데콘서트홀에서 자신이 직접 공수해 온 피아노 앞에 앉아 혼을 실은 연주로 관객들의 귀와 마음을 훔쳤다.

제9회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자인 짐머만은 쇼팽의 녹턴과 피아노 소나타로 1부를 채워 쇼팽 음악의 진가를 선보였다. 2부에서는 드뷔시 ‘판화’, 시마노프스키 ‘폴란드 민요 테마에 의한 변주곡’을 선보였고 우아한 신사 같은 그의 이미지와 어우러진 무대는 많은 이를 감동시켰다. 재치 있는 무대 매너 또한 관객들을 사로잡는 요소였다. 짐머만은 오는 10일에도 같은 공연장에서 한국 투어의 대미를 장식한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향 신년 음악회 공연 장면. 서울시향 제공
서울시향 신년 음악회 공연 장면. 서울시향 제공
짐머만이 개인 연주회의 문을 열었다면 서울시립교향악단은 교향악의 시작을 알렸다.

서울시향은 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신년 음악회를 열었다. 새해 힘찬 다짐을 하게 만드는 차이콥스키 ‘이탈리아 기상곡’으로 시작해 바이올리니스트 양인모가 무대에 올라 사라사테 ‘치고이너바이젠’, 라벨 ‘치간’을 협연했다. 2부에서는 드보르자크 교향곡 제8번으로 2024년 첫 교향곡 연주를 울려 퍼지게 했다.

서울시향은 다음날인 6일에 대원문화재단 신년음악회 무대에도 올랐다. 한국 클래식 음악계의 슈퍼스타인 피아니스트 조성진과 임윤찬 등 수많은 영재를 발굴하고 지원하며 한국 클래식 음악계 메세나의 선두 주자로 꼽힌 대원문화재단은 올해 공연에서 피아니스트 손열음과 서울시향이 함께하는 무대를 마련했다.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 개막 축하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위원장 김길영, 국민의힘, 강남6)는 지난 7월 31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 개막식에 참석, 서울 도심의 여름밤을 수놓은 미디어아트 행사에 시민들과 함께하며 축하의 뜻을 전했다. 이번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은 지난 7월 31일부터 8월 10일까지 11일간 매일 오후 8시부터 10시까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일대에서 진행되며, DDP 외벽과 서울성곽, 이간수문 일대를 배경으로 한 미디어파사드 및 설치작품 등 총 7개의 콘텐츠가 선보인다. 특히 새롭게 조성된 ‘수 공간’을 활용해 물과 빛, 미디어아트를 결합한 몰입형 전시로 관람객의 오감을 자극하며, 여름 시즌에 특화된 새로운 서울라이트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위원회는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 축제가 역사성과 현대성이 공존하는 DDP 공간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서울의 도심 문화를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석한 위원들은 개막식 행사를 함께 관람하며 시민들과 어우러져 DDP의 새로운 여름밤 풍경을 체험했고, 관계자들을 격려하며 앞으로도 DDP의 사계절 문화활동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약속했
thumbnail -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 개막 축하

프란츠 리스트의 ‘피아노 협주곡 1번’으로 문을 연 공연은 2부에서 에마뉘엘 샤르비에 랩소디 ‘에스파냐’, 제오르제 에네스쿠의 루마니아 랩소디 1번, 리스트 헝가리 랩소디 2번으로 이어지는 연주를 선보였다. 랩소디로 꽉 채운 독특한 무대였지만 서울시향의 명품 연주가 관객들에게 황홀한 밤을 선사하며 새해에도 알차게 이어질 클래식 음악 공연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