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반려동물 등록 6만 6578마리…전체의 70% 달성
지난해 유기동물 발생 건수는 3886마리로 12.7% 감소

제주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년 반려동물 산업박람회 ‘제주 펫페어’. 제주 강동삼 기자

2023년 애월읍 새별오름에서 진행됐던 제주도민과 반려동물이 함께 하는 제주 반려동물 문화축제 모습. 제주도 제공
제주지역 반려동물 등록은 늘어나고, 유기동물 발생은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는 2024년 12월 기준 반려동물 등록, 유기·유실 동물 현황 등 반려동물 보호와 복지 실태 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등록된 반려동물은 5439마리로 현재까지 6만 6578마리가 등록됐다. 이는 도내 전체 반려동물 총 9만 5304마리(추산)의 70%에 해당한다.
반려동물 등록 마리 수는 2022년 5만 3029마리에서 15.2% 늘어난 2023년 6만 1139마리에 이어 지난해 6만 6578마리로 8.9% 증가했다.
도내 동물병원 67개소(제주시 52, 서귀포시 15)를 반려동물 등록대행기관으로 지정해 반려인의 접근성을 높인 점이 실효를 거두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 등록 수수료 면제기간을 올해 12월까지 연장해 기존 및 신규 반려동물 양육자의 부담을 덜어준 점도 효과를 보고 있다. 반려동물 등록 대상은 2개월령 이상 개(의무)와 고양이(등록희망개체)다.
반면 지난해 도내 유기동물 발생 건수는 3886마리로 2023년 4452마리 대비 1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2019년 전국 최초로 도입한 읍면지역 실외사육견(마당개) 중성화 사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동지역까지 확대해 유기동물 발생을 줄여 나가고 있다. 마당개 중성화사업은 2022년 747마리, 2023년 944마리, 2024년 481마리이다.
도내 반려동물 관련 업체는 총 6개 업종 298개소로 2023년 대비 0.3% 소폭 상승했으며, 동물미용업 47%, 위탁관리업 32%로 조사됐다.
김형은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유기·유실동물의 수가 해마다 줄어들고, 반려동물 등록 마릿수가 증가하는 등 성숙한 반려문화가 자리를 잡아 가고 있다”면서 “유기․유실동물 발생 수를 줄이기 위해 성숙한 반려동물 조성 캠페인 홍보, 제주 반려동물 문화산업 한마당 축제 등을 통해 대도민 인식개선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