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족에게 지배당한 치욕도 그들의 역사로 만든 중국인들

이민족에게 지배당한 치욕도 그들의 역사로 만든 중국인들

입력 2010-12-04 00:00
수정 2010-12-04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인 이야기-역사, 제국이 되다】김정현 지음 멜론 펴냄

“중국은 도대체 어떤 나라야.” “갈수록 모르겠어.” 최근 천안함·연평도 사태를 잇달아 겪으면서 ‘알다가도 모를 나라가 중국’이라는 얘기가 더 자주 나오고 있다. 우리 민족과 그렇게 오랫동안 부대끼며 살아온 나라임에도 말이다.

정치학 박사이자 동아시아 전문가인 자오후지(趙虎吉) 중국 중앙 당교(黨校)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중국은 마오쩌둥의 이상주의에서 벗어나 덩샤오핑의 실용주의로 넘어오면서 또다시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은 강대국으로서의 새로운 등장을 세상을 알리는 신고식이었다. 그 신고식을 두고 세계는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낙관론과 위협론이 그것이다. 중국이 어디로 향할 것인지 세계가 궁금해하고 있다.”

소설 ‘아버지’로 유명해진 김정현씨가 지난 10여년 동안 중국에 체류하면서 취재, 정리한 ‘중국인 이야기-역사, 제국이 되다’(멜론 펴냄)가 나왔다. 일단 첫권을 냈지만 앞으로 총 30권권을 계속해 내는 게 목표다. 중국문명의 기원에서부터 현재 중화인민공화국까지 서술하는 대서사시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중국이 아닌 한국인에 의해 쓰인 ‘중국인 이야기’는 중국 역사에 대해 제3의 시선으로 객관적이고 냉정한 판단으로 역사적 의문점을 풀고 있다.

급변하는 세계 질서, 동아시아 반만년 역사 속에 중국과 긴밀하게 맺어져 온 한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중국사는 필독서라는 저자의 강변은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게다가 중국이 최근 경제강국으로 부상하면서 고구려사를 버젓이 왜곡하고 있어 중국사의 올바른 이해는 더욱 시급한 과제로 지적된다.

김씨는 “안타깝게도 지금껏 출간된 중국 역사서는 중국이나 일본, 서구의 책을 번역한 것이 대부분이었다.”며 집필 동기를 설명했다.

책은 단순한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문명을 만들고 진보시켜 온 인간, 즉 중국인을 중심으로 중국의 문명 기원부터 국가 탄생 신화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자세히 풀어 나가고 있다. 거대한 중화문명 이면의 중국인 속살을 파헤치고 있는 것이다. 황허의 시원 등 문명과 문화에 얽힌 얘기를 재미있게 버무리는 것도 잊지 않는다.

본문 중에 눈길을 끄는 한 토막. “치욕마저 버리지 않고 간직하는, 인내와 고통 속에서 지켜나가려는 의지가 이민족에 의한 지배의 역사마저 그들의 역사로 만들었다.…역사라는 이름이 거창하다면 ‘고통이 닥치면 그저 견뎌낼 뿐’이라는 그들의 가장 평범한 삶의 기본이라도 우리는 되새겨봐야 할 것이다.” 1만 4800원.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0-12-0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