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집 ‘사월의 미, 칠월의 솔’ 펴낸 김연수 작가
김연수(43)의 다섯 번째 소설집 ‘사월의 미, 칠월의 솔’(문학동네)에는 고통이 알알이 들어차 있다. 영화배우였던 ‘이모’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앞세우는 게 일이다. 불륜 상대였던 영화감독은 본처에게, 뒤이어 죽음에 빼앗겼고 그 사이에서 난 아기도 지워냈다. 미국으로 건너와 만난 남편 폴마저 췌장암으로 숨진다. ‘사랑하는 사람의 얼굴을 보면서 죽고 싶다’던 이모의 꿈은 깨진 지 오래다(사월의 미, 칠월의 솔). ‘나’와 큰누나는 암으로 숨진 엄마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새벽에 터널을 네 차례나 왕복하는 ‘미친 짓’을 감행한다. 소중한 이의 흔적, 그 한 자락이라도 잡으려는 가족의 상실감이 명징하게 도드라진다(주쌩뚜디피니를 듣던 터널의 밤). 그 어떤 간절한 말도 무력하게 만드는 자폐아를 둔 엄마. 결국 아이를 차에 태우고 중앙선을 넘는 것으로 고통을 끊어내려 한다(깊은 밤, 기린의 말).
문학동네 제공
쉬지 않고 작품을 내는 것으로 유명한 소설가 김연수는 “재능을 동력으로 쓰는 사람이 아니어서 고갈될 것도 없다. 아직도 소설을 공부하는 중이고 소설을 갖고 노는 게 재미있어서 계속 쓸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문학동네 제공
문학동네 제공
2008년부터 올여름까지 써 온 김연수의 이야기 11편은 고통이 덮친 자리를 감내하고 응시한다. 작가가 마흔을 넘기면서 찾아 온 변화가 계기였다.

기묘한 것은 그런 이야기들이 ‘비관’보다 ‘낙관’에 더 가깝게 읽힌다는 점이다. 상처는 상처대로 남아 있고 극적인 해결도 없는데 왜 그럴까. 그것은 고통을 담담히 인정하고 난 뒤에 작가가 찾아낸 ‘생의 의미’ 때문이다.
“‘세상은 고통의 원리로 만들어져 있고, 대부분의 사람은 자기가 원했던 인생을 살지 못하고 죽게 된다’는 걸 이제는 알겠단 말이죠. 진다는 것, 죽는다는 것이 있다는 걸 인정은 해요. 하지만 지는 방식, 죽는 방식에도 의미가 있지 않겠느냐는 거죠. 그게 바로 인생에서 이기고 지는 것과 상관없이 사라질 수 없는 관계의 이어짐이었어요.”
‘주쌩뚜디피니를 듣던 터널의 밤’의 ‘내’가 고인이 된 엄마와 자신이 기억으로 연결돼 있다는 걸 깨닫는 것에서, ‘사월의 미, 칠월의 솔’에서 ‘이모’가 사랑했던 사람의 아들이 자신의 젊은 날을 기억하는 것으로 위안을 받는 것에서 ‘관계의 힘’은 발휘된다.
작가는 전작에서처럼 이번에도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손창섭 작가의 죽음, 이진아기념도서관에 얽힌 얘기 등 실제 사건들을 성실하게 채집해 이야기로 옮겼다.
그는 “지금 우리가 말하고 싶은 것, 듣고 싶은 것을 쓰는 것이 소설을 쓰는 이유이고, 현재 우리가 어떻게 지냈는지에 대한 ‘보고’를 남겨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짚었다.
달라진 것은 ‘화자’들의 비중을 크게 덜어냈다는 것이다. “이전에는 화자가 잘난 척하며 과도하게 개입했다면 이번에는 타인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역할에 그쳤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올해 등단 20주년을 맞은 김연수는 최근 문학동네 팟캐스트에서 “등단한 뒤 첫 10년은 일이 없어서 힘들었고 이후 10년은 일이 너무 많아서 힘들었다”고 회고했다. 그가 그리는 다음 10년은 어떤 모습일까.
“작가가 되고 나서 가장 좋았던 게 독자들이 저를 연도별로 기억한다는 거예요. 매년 책을 내니까 독자들이 ‘A라는 책을 냈을 때 대학생이었고 B라는 책을 냈을 때 취직했다’는 식으로 제 책으로 자신의 인생을 추억하는 게 참 좋더군요. 그래서 ‘연도별로 좋은 책을 내야겠다’는 결심을 하는데 점점 힘들어지는 것 같고요(웃음). 적어도 지금 제 책을 읽는 사람들이 늙어 갈 때까지는 계속 기억할 수 있는 작가가 되고 싶어요.”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11-2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