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시대’에 쌓인 피로를 우려하는 목소리들이 조금씩 터져 나온다. 스마트해지는 건 디지털 기기일 뿐 정작 인간은 퇴보한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들린다. 새 책 ‘자연 몰입’의 입장도 이와 다르지 않다. 기술이 제공하는 혜택은 분명 있지만 기술이 만든 세계에 몰입하면서 나타나는 부작용은 그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이다. 그러니 이제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자연 속에 머물라는 게 책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이는 병원(病原)으로부터 자신을 떼어놓는다는 것과 함께 디지털 피로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 이른바 ‘비타민 G’(Green)를 섭취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그런데 왜 하필 자연일까. 의심 많은 현대인들은 이런 질문을 할 법하다. 자연이 인간을 치유한다는 소리는 많이 들었는데 대체 뭘 어떻게 치료한다는 건지 과학적 근거를 대보라고 말이다. 책은 이에 대한 답을 충실하게 담고 있다. 예컨대 저자들이 인용한 IQ 저하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실증적이다. 20세기 내내 사람의 IQ는 10년마다 약 3~5점씩 꾸준히 상승했다. 이 같은 현상을 발견한 이의 이름을 따 이를 ‘플린 효과’라고 한다. 한데 1998~2004년 연구에선 IQ 상승현상이 사라졌다. 2009년 영국의 10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더 충격적이다. 1980년대보다도 최고점이 떨어졌다. 인간의 IQ가 약 30년 전으로 퇴보한 셈이다. 주범으로는 디지털 기기가 꼽혔다. 이 시기가 이른바 디지털 마니아의 등장과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이다.
녹지에서의 활동이 어린이나 일부 어른에게서 나타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증상을 현저히 완화시켜 준다는 보고도 있다. 2004년 미국 일리노이대 연구진이 밝혀낸 결과다. 책은 이런 방식으로 자연의 치유력을 담은 여러 논문과 연구들을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저자들은 자연과의 유대를 회복하는 방안으로 ▲삼림욕 ▲사무실에 식물 놓아두기 ▲자연에서 추출한 에센스 오일 이용하기 ▲야외 운동하기 ▲애완동물 기르기등을 제시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4-09-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