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일의 어린이 책] 가족 돕는 집지킴이들의 한얼이 찾기 소동

[이주일의 어린이 책] 가족 돕는 집지킴이들의 한얼이 찾기 소동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5-01 23:34
수정 2015-05-02 02: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 아이가 없어졌어요/김홍신·임영주 지음/황지영 그림/멘토르/40쪽/9800원

‘대들보 성주신 집 안을 지켜 주고/안방의 삼신할머니 예쁜 아기 점지하고/부엌 안 조왕신 아궁이 불 지켜 주고/화장실 뒷간신 똥 덩이 받아먹네//장독대 철륭신 장맛이 정말 좋아/외양간 우마신 소 돼지 보살피고/대문 앞 문전신 잡귀야 물렀거라/고마우신 우리 집 지킴이 집지킴이’(고마우신 우리 집지킴이)

이미지 확대
시골 할머니 집에 간 한얼이. 아침에 일어나 화장실에 갔다. 노크를 하지 않고 화장실 문을 벌컥 열었다. 훔친 된장을 구석에서 몰래 먹던 뒷간신이 깜짝 놀라 된장 단지를 떨어뜨렸다. 몹시 화가 난 뒷간신은 “버릇없는 꼬맹이 녀석! 혼내 줄 테다!”라며 한얼이를 잡으려 했다. 한얼이는 뒷간신을 피해 집 밖으로 달아났다.

텃밭에서 돌아온 할머니는 아침 먹자며 한얼이를 깨우려 했다. 하지만 방 안에도 없고, 외양간에도 화장실에도 대문 앞에도 한얼이가 없었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집지킴이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우리 한얼이가 없어진 것 같소. 대체 어디에 갔을꼬?” 성주신이 물었다. 그때 대문을 지키던 문전신이 뛰어오며 말했다. “한얼이가 울면서 집 밖으로 나가는 걸 보았소! 뒷간신 때문이오!” 집지킴이들은 깜짝 놀랐다. 성주신과 철륭신, 문전신은 집을 지키고 삼신할머니, 조왕신, 우마신이 한얼이를 찾아 나섰다. 뒷간신을 피해 달아난 한얼이는 어디에 있을까.

한국 최초 밀리언셀러 ‘인간시장’ 작가의 첫 번째 그림책으로, ‘집지킴이’ 신앙을 다뤘다. 집지킴이들은 집에 나쁜 잡귀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고, 집에 사는 사람들을 도와준다. 단, 사람들이 집을 잘 보살피고 예의를 지킬 때만 그렇게 한다. 뒷간신은 기척을 내지 않고 화장실에 들어가면 화를 내고 조왕신은 부엌을 깨끗이 정리하지 않으면 복을 빼앗아 간다. 집지킴이 신앙에는 예절과 정리·정돈의 가르침이 배어 있다.

작가는 “어떻게 하면 요즘 아이들에게 한국 전통문화를 친숙하게 전달할 수 있을까를 고심하다가 재미있는 이야기로 들려줘야겠다고 생각하게 됐다”고 말했다. 4~7세.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5-0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