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프랭크 ‘아픈 몸을 살다’
지난해 말 국민건강보험공단 산하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건강보장정책 수립을 위한 주요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내놨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무려 148조원(2015년 기준 148조 2514억원)을 훌쩍 넘는다.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질병에 따른 직접적인 의료비는 물론 조기사망에 따른 미래소득 손실액, 의료이용에 따른 생산성 손실액, 간병비, 교통비 등을 합한 것이다. 건강의 사회적 가치를 분석할 때 이용하는 데, 지난 10년간 해마다 6.8%씩 꾸준히 증가했다고 한다.
모든 사람이 회복하지 못한다면 그것에 대한 사회적 대응이 필요한데, 현대의 병원은 이를 용인하지 않는다. 한국과 미국 등과는 달리 캐나다는 대개의 치료비용을 환자나 보험회사가 아닌 주정부가 지급하는데도, 병원 그 자체가 갖는 한계가 분명하다. 질병을 온전히 환자 저마다가 짊어져야 할 문제로 인식하기보다 회복만이 해피엔딩이라는 전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장동석 출판평론가
‘아픈 몸을 살다’가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담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개인이 질병을 통해 통찰한 깨달음은 사회적 맥락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 강박적으로 건강을 추구하는 사회가 오히려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늘리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장동석 출판평론가
2018-01-0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