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하향됐습니다. 모처럼 숨통이 트인 기분입니다. 그동안 문 닫았던 미술관에 들러 볼까 합니다. 미술에 대한 부담감이 있다면 이 책을 먼저 펼쳐봐도 좋겠습니다.
‘그림을 보는 기술’(까치)이 우선 눈에 들어옵니다. 그림의 구도, 선, 경로, 색감, 균형 등을 토대로 그림을 제대로 감상하는 기술을 설명한 책입니다. 저자는 미술가가 그림을 그릴 때 반드시 ‘의도’가 있다고 합니다. 그 의도를 알아채면 그림을 더 재밌게 볼 수 있는 거죠. 우선 주인공이 어디 있는지 판단하고, 미술의 구석구석을 본 뒤 균형을 살피라고 조언합니다. 그다음엔 색의 사용, 요소 배치를 알아야겠죠. 레오나르도 다빈치부터 빈센트 반고흐, 에드워드 호퍼에 이르는 각 시대 명화를 예시로 듭니다. 그림은 좋아하지만 어떻게 봐야 할지 잘 모르겠다 싶은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예술가의 생각’(필요한책)은 고전 미술 대가들의 창작 비밀을 들여다봅니다. 위대한 창작자들이 그림을 그릴 때 어떤 생각을 했는지 저서, 개인적 기록, 편지 등을 통해 수집하고 그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62명의 미술가가 밝히는 207편의 기록엔 작품 제작 착수, 작품의 목표, 습작, 작업 방식, 디자인, 채색, 마감 등 미술 창작의 단계적 과정이 보입니다. 수록한 그림을 보면서 글을 읽으면 이해가 쑥쑥 될 것 같습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미술관 자체에 초점을 맞춘 책도 있군요. 세계적인 미술관들이 내부 사진 촬영을 허용하고 있는데, 관람객들의 ‘인증샷’ 문화 때문입니다. 일본 도쿄 모리미술관은 이런 동향을 발 빠르게 파악해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줄서는 미술관의 SNS 마케팅 비법’(유엑스리뷰)은 135일 만에 인스타그램으로 61만명 관람객을 모은 미술관의 인기 비결을 공개합니다. 딱딱한 미술관을 넘어 미술관으로 관객을 이끄는 아이디어가 또 다른 재미를 줍니다.
gjkim@seoul.co.kr
2020-10-1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