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들이 시칠리아를 습격한 유명한 사건/디노 부차티 지음/이현경 옮김/현대문학/168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먼 옛날 이탈리아 시칠리아에는 웅장한 산이 있었고, 곰들은 그곳에서 왕국을 이루며 살았다. 곰들의 왕 레온치오가 어느 날 어린 아들 토니오와 함께 버섯을 따러 갔는데, 사냥꾼 두 명이 토니오를 잡아가 버렸다. 혹독한 추위로 먹을 것이 없어지자 곰들은 평야에 사는 인간 마을을 공격하자고 목소리를 높이고, 아들을 찾을 좋은 기회로 여긴 레온치오는 군대를 이끌고 인간 마을로 향한다.
이탈리아 환상문학의 거장 디노 부차티의 동화는 곰과 인간의 전투를 재미있게 그렸다. 곰과 인간 쪽 각종 캐릭터가 등장하고, 멧돼지 군대, 유령, 트롤과 고양이, 바다뱀 등이 얽히면서 엎치락뒤치락 하는 전개가 흥미진진하다. 곰들은 전투 초반 각종 무기로 무장한 인간에게 밀렸지만, 용맹스런 곰 바보네의 활약과 마법을 두 번이나 쓸 수 있는 똑똑한 데암브로시스 교수 덕에 승리한다. 그렇지만 산속에서와 달리 인간 마을에서 삶은 그리 순탄치만은 않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동화는 저자가 조카들에게 재미로 그림을 그려 주면서 시작했다. 주간 만화잡지에서 새로운 연재를 부탁하면서 몇 장 그려 놨던 그림들을 토대로 이야기가 싹텄고, 무려 13년 동안 이어졌다. 단순하면서도 아기자기하지만, 큰 사물과 작은 사물의 대비를 비롯해 탁월한 구도로 그려 낸 삽화가 역동적인 느낌마저 든다. 70여년 전 출판됐지만, 유치하거나 낡았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살펴보면 여러 의미를 새롭게 읽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뒤집고 뒤집히는 관계 속에서 곰과 인간은 왜 친구가 되지 못했는지, 함께 살아가는 일이란 무엇인지 묻고 생각하게 된다.
김기중 기자
2022-12-1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