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시인의 마지막 당부 “눈물도 힘이 되게 하라”

민중시인의 마지막 당부 “눈물도 힘이 되게 하라”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5-05-15 02:07
수정 2025-05-15 0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창비, 신경림 유고시집 ‘살아 있는 것은 아름답다’ 출간

이미지 확대
신경림 시인.  창비 제공
신경림 시인.
창비 제공


죽음을 마주하고도 시를 향한 불꽃은 꺼지지 않았다. 생은 병마를 이기지 못했으나 문학의 불길은 활활 타올라 애처로운 유작이 됐다.

민중의 애환을 보듬었던 시인 신경림이 타계한 지 오는 22일이면 딱 1년이 된다. 창비는 신경림의 유작을 그러모은 ‘살아 있는 것은 아름답다’를 창비시선 518번으로 출간했다. 1975년 신경림의 ‘농무’가 창비시선 1번으로 나온 지 꼭 50년 만이다.

이미지 확대


청년 신경림의 문학적 가능성을 알아채고 그의 작품 세계를 꾸준히 뒷받침했던 출판사 창비는 시인의 1주기를 앞둔 14일 서울 마포구 창비서교빌딩으로 기자들을 불러 모았다. 간담회에는 시집의 해설을 쓴 후배 시인 도종환과 고인의 차남 신병규씨가 자리했다.

“바위틈에도 돌 틈에도 숨은 것들이 있다./나무 사이에도 담벼락 사이에도 있다./꽃들이 숨어 있고 풀들이 숨어 있고 돌들이 숨어 있다./바람을 피해 햇살을 피해 숨어 있을까, 아닐 게다./숨어 있어 아름답고 보이지 않아 더 아름답다.”(시 ‘숨어 있는 것들을 위하여’ 중)

작고 연약한 것들에게서 끈질긴 생명력을 찾아냈던 시인은 생의 마지막에 이르러서 ‘숨은 것’을 예찬한다. 보이는 것만이 이 세상의 전부가 아니라는 평범한 진리. 그러나 이 외침이 절실하게 다가오는 건 숨기는커녕 ‘설치고 나대는 것’들이 자꾸만 숨은 것들을 겁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경림은 가난한 자의 곁에서 가만히 노래만 불러 줬던 시인이 아니다. 가난한 이가 가난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함께 분노했던 우리 사회의 큰어른이었다. 이런 시편이 그것을 증명한다.

“우리가 살아온 세상이 이토록 허술했다는 걸/우리가 만들어 온 세상이 이렇게 바르지 못했다는 걸/우리가 꿈꾸어 온 세상이 이토록 거짓으로 차 있었다는 걸/밤마다 바람이 창문을 찾아와 말하지 않더냐/슬퍼만 하지 말라고/눈물과 통곡도 힘이 되게 하라고”(시 ‘언제까지고 우리는 너희를 멀리 보낼 수가 없다’ 중)

이날 도종환은 고인에 대해 “작아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 시인의 일이고 그것을 위해서 시인은 항상 가난해야 하며 낮은 곳에 있어야 한다는 걸 온몸으로 보여 주신 분”이라고 했다. 그는 신경림의 주선으로 첫 시집을 창비에서 낸 인연이 있다. 늙음은 시인에게서 문장의 탄성을 앗아가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번 시집에는 그런 기색이 없다. 도종환은 “한결같은 시인, 한결같은 시”라고 상찬했다.

신병규씨는 “여느 할아버지들처럼 손주들에게 각별했으며 마지막 정신이 혼미한 가운데서도 손주들은 잘 알아보셨다”며 “유고 시집 출간으로 이제야 하나씩 정리가 시작된 느낌인데 앞으로 우리에게 남은 숙제를 잘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시집 ‘농무’의 첫 시 ‘겨울밤’의 첫 문장은 이렇다. “우리는 협동조합 방앗간 뒷방에 모여/묵 내기 화투를 치고/내일은 장날. 장꾼들은 왁자지껄/주막집 뜰에서 눈을 턴다.”

유고 시집의 마지막은 독립운동가 여운형에게 바치는 시 ‘당신이 꿈꾸던 나라, 당신이 죽어서도 꿈꾸던 나라로’가 장식했다. “당신이 죽어서도 떠나지 못한 땅을/당신이 꿈꾸던 당신이 죽어서도 버리지 못한/아름답고 평화로운 나라로 만들렵니다.” 시의 마지막 문장이다. 시인의 관심은 언제나 이 땅과 세상이었다.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2025-05-1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