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의 신
리즈 무어 지음/소슬기 옮김/은행나무
696쪽/2만 1000원

작가 리즈 무어. ⓒMaggie Casey
‘숲의 신’은 심술궂다.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방향감각을 어지럽혀 자기 위치는 물론 사고력마저 잃게 만든다. ‘숲의 신’의 그리스식 이름은 팬(Pan), 여기서 나온 단어가 ‘패닉’이다. 숲은 자연에 있지만, 인간 스스로 만들기도 한다. 종교나 신념, 성의 차이 등이 만든 숲이다. 그 숲엔 ‘팬의 미로’가 펼쳐져 있다. 누구도 탈출할 수 없을 것 같은 이 천라지망에서 벗어나 자유를 찾은 여자아이가 있다. 새 책 ‘숲의 신’은 바로 그 여자아이 이야기다.

1975년 8월의 어느 날 아침, 미국 뉴욕주 애디론댁산맥 자락의 청소년 숲 캠프에 참가한 바버라가 실종된다. 바버라는 평범한 13세 소녀가 아니다. 캠프는 물론 그 일대 광대한 삼림 보호구역을 소유한 반라(Van Larr) 가문의 딸이다. 지역 사회의 무수한 사람들이 반라 가문에 고용돼 살고 있다.
이 숲에서 실종된 아이는 또 있다. 바버라의 오빠 베어다. 14년 전 할아버지와 함께 하이킹을 떠난 베어는 결국 돌아오지 못했다. 애먼 사람이 범인으로 몰리다 심장마비로 죽었고, 베어의 시신은 여태 발견되지 않은 상태다. 뉴욕 최초의 여성 수사관인 26세 형사가 급파되는 등 한바탕 법석이 펼쳐지고 본격 수사가 시작된다.
누구나 짐작하듯, 이 숲은 범상한 공간이 아니다. 1970년대는 미국 역사에서 여성 인권에 관한 시각이 급변하던 때였고, 환경주의 정책이 계층 간 불평등의 그늘을 짙게 드리웠던 시기였다. 작가는 이런 사회적 맥락 속에 갈등하는 인물들을 숲에서 하나하나 끄집어내 이야기를 엮어 간다. 마약과 알코올 중독, 여성 혐오와 학대, 돈의 부패 방식 등 사회의 뒷면과 인간성의 균열 등이 낱낱이 드러난다.
애디론댁은 실제 1970년대에 로버트 개로라는 살인마가 연쇄 살인을 벌이던 곳이다. 책의 모티브도 이 사건에서 가져왔다. 작가는 사건이 벌어진 애디론댁의 오두막에서 기거하며 소설을 썼다고 한다. 숲과 등장인물 등이 매우 정교하고 단단하게 그려진 건 이 덕이다.
책은 슬로번 스릴러(slow-burn thriller) 장르로 분류된다. 그러니까 ‘천천히, 그러나 뜨겁게 불이 붙는’ 스타일이다. 초반에 뿌려진 밍밍한 ‘떡밥’들은 후반에 충실하게 회수된다. 책을 덮고 나면 아마 두 가지 영화를 짬뽕해서 본 듯한 느낌이 들지 싶다. 판타지의 거장 기예르모 델 토로가 만든 ‘판(팬의 라틴어 이름)의 미로’, 그리고 데이비드 핀처 감독 버전의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말이다. 책의 분위기가 딱 그렇다.
2025-09-2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