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오스트리아 빈 구간을 운항한다. 오스트리아 항공, 루프트한자 항공 등을 이용해 뮌헨이나 프랑크푸르트를 거쳐 갈 수도 있다.
이미지 확대
④ 오스트리아 전통 음식 슈니첼. 최갑수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④
오스트리아 전통 음식 슈니첼. 최갑수 제공
빈의 음식은 대부분 독일과 헝가리, 오스만튀르크의 영향을 받았지만 ‘비너슈니첼’④만큼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빈에서 시작해 전 유럽으로 대중화됐다. 슈니첼이란 계란옷을 입혀 굽거나 튀긴 고기 요리를 뜻하는 독일어로 우리나라 돈가스와 비슷하다. 비너슈니첼은 송아지 고기를 납작하고 얇게 다진 뒤 밀가루와 계란, 빵가루를 입혀 기름에 튀겨 낸 것이다. 여기에 레몬즙을 뿌리고 라즈베리 소스 등에 찍어 먹으면 상큼함이 더해진다.
이미지 확대
⑤ 오스트리아 전통 음식 타펠슈피츠. 최갑수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⑤
오스트리아 전통 음식 타펠슈피츠. 최갑수 제공
슈니첼 외에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음식이 하나 더 있다. 프란츠 요제프 황제를 비롯한 고기 애호가들에게 사랑받는 타펠슈피츠⑤다. 부드러운 소 엉덩이살과 다양한 채소, 소뼈를 넣어 삶은 뒤 국물에서 재료를 건져 소스와 함께 먹는 음식이다. 빈 시내 대부분의 레스토랑에서는 이 두 가지 전통요리를 쉽게 맛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⑥ 멜랑지 커피와 초콜릿 케이크 자허토르테. 최갑수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⑥
멜랑지 커피와 초콜릿 케이크 자허토르테. 최갑수 제공
빈의 커피는 2011년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이고 명물이다. 빈에는 프로이트가 빈에 살 때 애용했던 카페 란트만(Landtmann)을 비롯해 2000개가 넘는 카페가 있는데 지금도 이처럼 유서 깊은 카페가 150여곳에 달한다고 한다. 빈엔 ‘비엔나커피’ 메뉴가 없다. 진한 에스프레소 위에 생크림이 올라가 있는, 우리가 비엔나커피라고 부르는 이 커피의 진짜 이름은 멜랑지다. 멜랑지 커피 한잔과 함께 초콜릿 케이크인 자허토르테⑥나 애플파이의 일종인 아펠슈트루델을 먹다 보면 유럽에서 가장 아름답고도 낭만적인 도시가 이곳 빈임을 다시 한번 실감할 수 있다.
구도심에 자리한 그랜드 페르디난드 호텔은 성 슈테판 성당을 비롯해 빈 대부분의 명소에 도보로 20분 이내에 닿을 수 있는 곳에 자리한다.
2020-01-3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