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잊혀지는] 사라지는, 잊혀지는 공간

[사라지는, 잊혀지는] 사라지는, 잊혀지는 공간

입력 2010-03-14 00:00
수정 2010-03-14 15: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 이름은 회현시범아파트, 사는 곳은 남산자락,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끌텅할아버지 아파트예요.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금방이라도 삐그덕거리며 열릴 것 같은 나무 대문에는

우편물 반송장이 여러 장 덧붙어 있어

더 이상 사람이 사는 집이 아님을 알려주고 있어요.

이미지 확대
사람들이 모두 일터로 떠난 낮 시간에는

높은 아파트 건물에 가려 그늘진 공간 곳곳에 숨어든

따뜻한 볕을 찾아 옮겨 다니는 길고양이들이

아파트 주인을 자처합니다.

이미지 확대
공용화단에는 화초 대신 심어진 장독들이

형형색색의 플라스틱 꽃을 피워내죠.

십수 년 살이의 공간이,

개발 논리에 밀려 빗장을 잠근 채

늙어가고 있어요.

회현시범아파트

1970년대 국·공유지에 난립해 있는 무허가 건물들을 정비하기 위해 들어선 게 시민아파트다. 이는 국·공유지에 아파트를 지어서 분양하는 방식인데, 시대가 시대이니 만큼 날림공사로 인해서 마포의 ‘와우아파트’ 같은 참사도 일어나고, 부실공사로 문제가 많았다. 이로 인해서 서울시의 공신력은 땅에 떨어졌고, 서울시에서 시범을 보이겠다며, 건설한 아파트가 바로 시범아파트다. 현재는 이주한 100여 세대를 제외한 200여 세대가 살고 있다.




소금밭 고랑 따라 길게 늘어진 수로를 타고

바닷물이 들어오면,

농부는 소금밭에 나와 튼실한 다리로 물레를 돌려요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뙤약볕 모진 이끌림 따라

소금기 가득한 바닷바람 따라

한 발 두 발 물레를 돌리다 보면

언제 그렇게 피고 진 줄 모르게

농부의 몸에 먼저 하얀 소금꽃이 피어요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소금꽃을 피워 올리는 생산 동력은

뜨거운 햇볕과

농부의 물레질

그리고,

바닷물 낯짝을 스치는 바닷바람이에요.

고전리 삼양염업사

1939년 전북 고창군 심원면 고전리 삼양염업사는 삼양사의 설립자인 김연수 선생이 지은 것으로 당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값싼 중국산 천일염에 밀려 염전을 일구던 상당수의 마을 사람들이 생활의 터전을 떠나 방치돼 있다. 염전을 따라 길게 늘어선 사무소와 창고 등의 건축물은 목조 단층으로 지붕은 슬레이트를 얹었다. 건물 중 일부는 1950년 한국전쟁 중에 소실됐으나 이후 복원되기도 했다. 현재는 근대 문화유산으로 지정하는 작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몇 곳 남지 않은 염전에서는 아직도 재래 방식 그대로 천일염을 생산하고 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글·사진_ 임종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