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 봄볕이 무척이나 따뜻했던 5월, 피천득 선생님과 정채봉 편집부장을 모시고 법정 스님이 계신 송광사 불일암에 갔었습니다. 피 선생님의 팔순을 기념하는 봄나들이 소풍이었지요. 그때 스님은 회색 소형차를 직접 몰며 우리를 광양 매화마을, 낙양읍성을 거쳐 여수까지 이곳저곳 꽃구경을 시켜주셨습니다. 자연스레 차 안에서 네 사람은 이야기꽃도 피우게 됐지요. 슬슬 장난기가 발동한 것도 당연한 일입니다.
“스님, 스님은 최근에 어느 때가 가장 힘드셨어요?” “고속도로 휴게실에 들러 화장실에 갈 때입니다. 옆에서 볼일 보는 사람이 아는 척을 할 때가 제일 난감하지요.”
생각보다 급하게 차를 모는 스님께 “스님도 과속 위반 딱지 많이 받아보셨지요?” 하고 여쭙자 빙그레 웃으시기만 하던 스님의 옆모습은 열 살 소년이었습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여 분 대나무 오솔길을 살살 올라 암자에 도착한 피 선생님은 먼지조차 찾기 어려울 정도로 정갈한 해우소와 스님 거처를 둘러보시고 나무 의자에 앉으셨습니다. 그리고 물끄러미 앞산인 조계산을 바라보다 특유의 그 환한 웃음을 지으시며 이렇게 말씀하셨지요. “스님! 스님은 무소유라 하시면서 모든 것을 다 가지셨네.” 이때도 스님은 아무 말씀이 없으셨지요. 단지 살짝 미소만 지으시던 모습이 영영 그리움으로 남을 줄 몰랐습니다.
피천득, 법정 그리고 정채봉…. 이분들은 이제 제 전화를 받으실 수 없습니다. 이젠 우스갯소리를 나누며 함께 웃을 수도 없습니다. 그래도 아직 그분들의 목소리는 생생히 기억납니다. 언제라도 듣고 싶으면 제 귓속의 녹음기는 그분들의 말씀을 전해줍니다. 아주 거창한 얘기는 아닙니다. 그저 짧은 몇 마디 정도만….
“한 세상 즐겁게 살다 가는 거지!”
발행인 김성구(song@isamtoh.com)
2010년 5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