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석마다 USB충전포트, 독서등, 하차벨, 와이파이 무료사용…연말까지 25대로 확충

광역버스 입석 문제를 해결하고자 경기도가 국내에서 처음 도입한 2층 버스가 22일 정식 운행된다.
도 관계자는 21일 “내일 오전 10시 ‘8601번’ 버스를 시작으로 광역버스 정식운행을 시작한다”면서 “2층 버스가 처음 운행되는 만큼 출근시간대 혼잡을 피하고자 첫차 시간을 늦췄다”고 밝혔다. 8601번 버스는 김포운수 차고지를 출발, 서울시청까지 왕복 운행한다.
2층 버스는 스웨덴 볼보사가 제작한 72인승으로, 지난달 4일 부산항에 도착해 김해 볼보센터에서 출고 전 검사(PDI)를 마쳤다. 도는 같은달 11일부터 시험 운행해 왔다.
버스 재원은 길이 13m, 폭 2.5m, 높이 4m이며 대당 가격은 4억5천만원이다. 내부 1층 높이는 1.82m, 2층은 1.70m다. 별도 주문해 모델명은 없다.
도는 안전 운행을 위해 최고 속도를 시속 80∼90㎞로 제한했으며 운전 사각지대를 없애고자 버스 외부에 모니터링 장치(AVM)를 장착했다.
또 승객 편의를 위해 좌석마다 USB 충전포트, 독서등, 하차벨을 설치했으며 와이파이도 무료로 제공한다.
도는 총 9대를 주문했으며 현재는 1대만 들여온 상태다.
8대가 추가로 도착하면 5대를 김포 대포리∼서울시청을 오가는 ‘8601번’과 김포한강신도시∼서울시청간 ‘8600번’ 노선에, 나머지 3대는 마석∼잠실 ‘8002-2번’, 경복대∼잠실 ‘8012-2번’, 호평동∼잠실 ‘1000번’ 등 남양주 3개 노선에 각각 배치할 방침이다.
도는 올해 안에 16대를 추가로 들여와 총 25대를 운행할 계획이다.
앞서 도는 지난해 7월 정부의 광역버스 입석 금지 조치 이후 출퇴근 문제를 해결하고자 승객 수송 능력이 뛰어난 2층 버스를 광역 버스 노선에 도입하기로 했다.
국내에서는 1991년 서울시청∼과천 시내버스 노선에서 2층 버스가 처음 시범 운행됐지만 버스의 높이가 4∼4.2m로, 시내 도로 사정 등에 맞지 않아 운행이 중단됐다.
현재 국내에는 23대의 2층 버스가 있으나 대부분 43인승이며 관광용으로 운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