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뜯으며 파국 치닫다 극적 화해
부통령·비서실장이 차례로 중재
머스크·트럼프 통화하며 마무리

폭스뉴스 캡처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월 폭스뉴스에 공동 출연해 인터뷰를 하고 있다.
폭스뉴스 캡처
폭스뉴스 캡처
공개적으로 서로 헐뜯으며 파국으로 치달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전격 화해했다.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을 힐난한 데 대해 “후회한다”며 사실상 공개 사과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관계 회복이 가능할 것 같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칼럼니스트의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머스크가 자신의 행동을 후회한다고 밝힌 데 대해 “그가 그렇게 한 것이 아주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머스크와의 관계를 전처럼 회복하겠느냐”는 질문엔 “할 수 있을 것 같다”고도 했다. 다만 그는 “약간 실망스러웠다”는 평가는 유지했다. 앞서 머스크는 이날 새벽 엑스(X)에 “지난주에 대통령에 대해 올린 게시물 일부를 후회한다. 너무 멀리 나갔다”고 써 먼저 화해의 손길을 내밀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그가 발표한 (후회한다는) 성명을 알고 있으며 고맙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머스크의 사업과 관련된 연방 정부 계약을 해지해야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는 “어떠한 노력도 하고 있지 않다”며 실행에 옮기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두 사람의 화해 이면에 JD 밴스 부통령과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등 트럼프 측근들의 보이지 않는 노력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지난 6일 밴스 부통령, 와일스 비서실장이 차례로 머스크와 통화하며 화해 중재를 했고 10일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며 갈등이 마무리됐다는 설명이다. CNN 소식통은 “그 시점에는 머스크가 이미 물러선 모습이었고 대통령은 전날보다 화가 덜 나 있었다”고 설명했다.
2025-06-1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