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송 ‘유 아 소 뷰티풀’(You Are So Beautiful) 등 다수의 히트곡으로 1970~80년대를 풍미한 가수 조 카커가 22일(현지시간) 미국 콜로라도주 크로포드 자택에서 폐암으로 별세했다고 뉴욕타임스 등이 보도했다. 70세.
이미지 확대
가수 조 카커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가수 조 카커 AP 연합뉴스
호소력 짙은 거친 목소리로 유명한 그는 파란 눈의 백인이 흑인 창법으로 노래를 부른다 해서 만들어진 ‘블루 아이드 소울’ 장르의 대표 가수로 통했다.
1944년 영국 셰필드에서 출생한 카커는 25세 때인 1969년 비틀즈의 노래를 리메이크한 ‘위드 어 리틀 헬프 프롬 마이 프렌즈’(With A Little Help From My Friends)가 히트하면서 10년간의 무명생활을 청산했다.
지미 페이지, 스티브 윈우드 등 당대 유명 뮤지션과 함께 작업한 이 곡은 원곡보다 더 큰 인기를 끌며 영국 차트 1위에 올랐다. 이를 발판으로 그해 미국 뉴욕 우드스톡 페스티벌 무대에 서면서 세계적 스타로 발돋움했다.
2012년까지 총 22장의 앨범을 남긴 그는 히트곡 제조기였다. ‘유 아 소 뷰티풀’은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17주간 1위를 기록했으며, 제니퍼 원스와 듀엣으로 불러 1982년 영화 ‘사관과 신사’의 주제곡으로 쓰인 ‘업 웨어 위 빌롱’(Up Where We Belong)으로 이듬해 그래미상과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4-12-2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