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현역, 무대 떠나다

영원한 현역, 무대 떠나다

입력 2016-01-10 22:58
수정 2016-01-11 0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극계 산증인 배우 백성희씨 별세

한국 연극계의 산증인 배우 백성희(본명 이어순이)가 별세했다. 91세.

이미지 확대
‘한국 연극계 산증인’ 배우 백성희 별세 연합뉴스
‘한국 연극계 산증인’ 배우 백성희 별세
연합뉴스

고인은 지난 8일 오후 11시 18분쯤 서울의 한 요양병원에서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1950년 창단한 국립극단의 현존하는 유일한 창립 단원이자 현역 원로단원이었다. “작품은 가려서 선택하지만 배역은 가리지 않는다”는 신조 아래 평생 400여 편의 연극에서 다양한 역을 맡았다. ‘베니스의 상인’(1964) ‘만선’(1964) ‘무녀도’(1979)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1981) ‘강 건너 저편에’(2002) 등이 대표작이다. 최근까지도 ‘바냐아저씨’(2013) 등에 출연했다. 그러다 지난해 가을 건강이 급격히 악화돼 요양병원 중환자실에서 투병 생활을 이어왔다.
고인은 1925년 9월 2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우연히 일본 소녀가극단 ‘다카라즈카’의 홍보물을 보고 연극배우의 꿈을 키웠다. 17세에 빅터무용연구소 연습생, 빅터가극단 단원을 거쳐 1943년 극단 현대극장 단원으로 입단했다. 입단하던 그해 18세의 나이로 연극 ‘봉선화’로 데뷔한 이후 70년 넘게 오직 연극 한길만을 걸어왔다.
1950년 창단한 국립극단의 창립 단원으로 옮긴 고인은 1972년 국립극단에서 처음 시행한 단장 직선제에서 최연소 여성 단장으로 선출돼 1974년까지 재직했다. 이어 1991∼1993년 다시 한번 단장을 역임했다. 2002년부터는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했다. 2010년엔 국내 처음으로 배우의 이름을 따 문을 연 ‘백성희장민호극장’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국립극단 김윤철 예술감독은 “연극의 체계적 교육이 불가능한 시기에 태어나 홀로 여러 방법을 개척한 연극인들의 표상”이라며 고인을 추모했다.
고인은 지난해 12월 자신의 연극 인생이 오롯이 담긴 회고록 ‘백성희의 삷과 연극: 연극의 정석’을 출간했다. 그는 회고록에서 “연극은 내가 볼 수 없는 것까지 보게 만들어, 내가 알지 못하는 세상의 새로운 곳으로 나를 데려갔다. 참으로 오랜 여행이었지만, 나는 지금 그 여행을 시작할 수 있었던 것에 무한히 감사한다”고 했다.
동아연극상(1965), 대통령표창(1980), 보관문화훈장(1983), 대한민국문화예술상(1994), 이해랑연극상(1996), 대한민국예술원상(1999), 은관문화훈장(2010) 등을 받았다.
빈소는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2호실(02-3010-2232)이다. 장례는 연극인장으로 치러진다. 발인은 12일 오전, 영결식은 서울 용산구 서계동 백성희장민호극장에서 열린다. 영결식 후 중구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노제가 진행될 예정이다. 장지는 경기 분당 메모리얼파크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1-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