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보기의 책보기] 책 표지가 흐린 까닭을 알 것도 같고

[최보기의 책보기] 책 표지가 흐린 까닭을 알 것도 같고

입력 2025-01-20 13:17
수정 2025-01-20 1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행복은 발가락 사이로』 이광이 산문집/ 북스 펴냄
『행복은 발가락 사이로』 이광이 산문집/ 북스 펴냄


무림도처유고수(武林到處有高手) 세상도처유상수(世上到處有上手)는 진리다. 무림에는 도처에 고수가 숨어있으니 하수는 함부로 주먹을 휘두르지 말아야 하고, 세상에는 도처에 상수가 널려있으니 하수는 겸손해야 한다. 앞뒤가 똑같은 이름의 작가 ‘이광이’는 처음인데 어쩌다 우연히 손에 들어온 그의 산문집 『행복은 발가락 사이로』를 통해 알고 보니 그는 ‘불교 철학가’로서 이미 한가락 하는 절정의 초고수다. 다음은 『행복은 발가락 사이로』 머리말 발췌다.

<50대에 새 일자리를 얻어 광주에 내려갔을 때, 홀어머니는 이렇게 말했다. “아야, 방 얻어 따로 살어라.” 장손인 나는 짐을 싸 들고 당연지사 어머니 아파트로 들어갔는데, 노모가 동거를 거부한 것이다. “어릴 때 니들 키우고 다 커서 또 뒷바라지 해야겄냐, 나 늙어서 못한다!”는 이유였다. 이것은 속사정이야 어떻든 구설에 오를 일이다. 귀향해서 일하면서 홀어머니를 팽개치고, 지 편하자고 각각 두 집 살림을 한다? 이것은 모양이 너무 빠진다. 나는 궁리 끝에 세 개 항을 제시해 어머니와 8년을 살았다.

새해가 시작되는 정월 어느 날, 볕이 드는 거실에 앉아 내가 말했다. “아침에 세수하는 손가락 사이로 왔다가 저녁에 양말 벗는 발가락 사이로 하루가 가버린다 하더니, 세월이 참말로 그렇지 않으요?” 노모 응수한다. “그래, 그 말이 듬쑥한 말이구나. 아야, 바닷가 펄 밭에서 자잘한 칠게 잡아 놓은 통발 있지? 그것이 엎어지면서 게들이 사방으로 뿔뿔이 흩어져 도방가잖아. 얼마나 빠르냐? 설날 뚜껑을 열면 삼백예순 날들이 저 칠게 마냥 순식간에 사라져 버리드라.”>

『행복은 발가락 사이로』에 대해 더 이상 다른 소개가 필요한가? 이 책 25페이지에 있는 「부드러운 혀」는 유능제강(柔能制剛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에 관한 사색이다. 전문을 여기에 소개하고 싶은데 그러면 서평의 의미도 없고, 저작권 위반이다. 행여 실수로 남에게 책을 줘버릴까 싶어 여기 저기 도장을 찍어 서재 정중앙에 모셨다. 귀하고 좋은 글을 엮은 저자와 출판사 여러분께 깊이 감사를 드린다. 책 표지 디자인을 흐리게 했다. 그 의미를 알 것 같다. 행복이 발가락 사이로 오긴 하나 그 실체는 마음에 달려있다는.

최보기 (책글문화네트워크 대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