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서 귀화 이수정씨, 500년 전통 ‘인류무형문화유산’ 전수자 됐다[공존: 그러데이션 한국]

베트남서 귀화 이수정씨, 500년 전통 ‘인류무형문화유산’ 전수자 됐다[공존: 그러데이션 한국]

송현주 기자
송현주 기자
입력 2025-05-07 00:29
수정 2025-05-07 00: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당진 ‘기지시줄다리기’에 매료
“베트남과 한국 잇는 가교 역할”

이미지 확대
베트남서 귀화 이수정씨
베트남서 귀화 이수정씨


무게 약 40t, 길이 200m, 지름 둘레 1m. 지푸라기를 하나하나 엮어 만든 거대한 줄은 보는 이를 압도했다. 조선시대 충남 당진 송악읍 기지시리 인근 주민들이 모여 줄을 당기며 평안을 기원했던 풍습에서 시작된 ‘기지시줄다리기’는 201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국가 무형유산이다.

500년 된 무형유산의 보존을 위해 줄 제작과 줄다리기 진행 과정 등을 익히는 전수자 중에 유독 눈에 띄는 사람이 있다. 10년 전인 2015년 귀화한 이수정(37)씨다. 베트남 출신인 이씨는 귀화 전까지 ‘웬티탄 웻’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2008년 한국인 남편과 결혼한 이씨는 두 딸을 키우며 일하는 ‘워킹맘’이다. 꽃집을 운영하는 이씨는 600평대 하우스에서 직접 꽃을 재배한다. 줄다리기와는 전혀 인연이 없는 이씨가 전수자가 된 건 우연한 계기였다고 한다.

평소 ‘당진의 마당발’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이씨에게 기지시줄다리기 축제에서 ‘베트남어 통역을 맡아 달라’는 요청이 들어왔고 이씨는 처음 줄다리기를 접한 뒤로 2021년 전수자가 됐다.  기지시줄다리기 전수자는 약 40명이지만 이주민은 이씨가 유일하다. 구은모(53) 보존회 회장은 “비타민 같은 이씨 덕분에 보존회 전체에 활력이 생겼다”고 했다.

이씨는 오는 8월 무형유산 이수자 시험을 치른다. 전수자가 교육생 신분이라면 이수자는 전수자 교육을 3년 이상 받아야 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기능·예능을 갖춘 이들만 선발된다. 이씨는 “고향인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도 유사한 풍습이 있다”며 “줄다리기를 계기로 베트남과 한국을 잇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전했다.
2025-05-0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