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을 앞두고 일본올림픽위원회(JOC)와 도쿄도가 자원봉사자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목표 인원은 총 11만명. 선수촌, 경기장, 미디어센터 등에서 활동할 ‘대회 봉사자’ 8만명과 공항, 관광지 등에서 활동할 ‘도시 봉사자’ 3만명이다.
주최 측은 만만치 않은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대학생 등 젊은층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라며 동참을 호소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대학 학사일정 변경까지 요구하는 등 무리수가 나타나 대학과 시민단체 등이 반발하고 있다.
5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일본 문부과학성(한국 교육부에 해당)과 스포츠청은 지난달 26일 대학생들의 올림픽 자원봉사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전국 대학과 고등전문학교 등에 특별 공문을 내려보냈다. 올림픽 대회기간 중 수업·시험 기간 등을 유연하게 조절해 달라는 내용이었다. 문부과학성 등은 2020년에 ‘바다의 날’ 등 일반 공휴일 날짜를 올림픽 전후로 옮기는 내용의 특별조치법이 성립된 점을 들어 각 대학들도 ‘학사력’(수업, 시험, 행사 등 대학의 연간계획)을 올림픽에 맞춰 운용할 것을 촉구했다.
도쿄신문은 “공문은 대학들이 수업 시작시기 등을 문부과학성에 알리지 않고 임의로 바꿔도 된다고 밝히고 있다”며 결국 대학이 당국 몰래 학사일정을 바꾸는 것을 정부가 직접 나서 유도하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이미 2020년 학사일정을 평년과 다르게 고치는 대학들이 나오고 있다. 도쿄 고쿠시칸대는 2020년 1학기 수업과 시험을 7월 23일까지 마치고, 대회기간은 ‘특별과제연구기간’으로 정해 수업을 하지 않기로 했다. 수도대학도쿄도 기말시험을 올림픽 개막 전에 종료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부 대학에서는 과거 자원봉사 경험자의 강연이나 자원봉사 의미를 배우는 수업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야마모토 아쓰히사 세이조대 심리사회학과 교수는 “국가가 자원봉사에 협력하라고 대학 등에 ‘선동’을 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며 “대학이 심혈을 기울여 만들어 놓은 학사일정을 상부의 관점에 따라 바꾸라는 것은 자발성을 바탕으로 한 자원봉사의 의미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저널리스트는 자원봉사가 취업용으로 변질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했다. 그는 “일본의 기업문화는 ‘멸사봉공’인데, ‘한여름 폭염 속에서 힘들게 자원봉사를 했다는 것은 잔업을 마다하지 않고 일하는 근면한 적성의 지표’라며 이를 채용에 반영하는 기업이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주최 측은 만만치 않은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대학생 등 젊은층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라며 동참을 호소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대학 학사일정 변경까지 요구하는 등 무리수가 나타나 대학과 시민단체 등이 반발하고 있다.
5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일본 문부과학성(한국 교육부에 해당)과 스포츠청은 지난달 26일 대학생들의 올림픽 자원봉사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전국 대학과 고등전문학교 등에 특별 공문을 내려보냈다. 올림픽 대회기간 중 수업·시험 기간 등을 유연하게 조절해 달라는 내용이었다. 문부과학성 등은 2020년에 ‘바다의 날’ 등 일반 공휴일 날짜를 올림픽 전후로 옮기는 내용의 특별조치법이 성립된 점을 들어 각 대학들도 ‘학사력’(수업, 시험, 행사 등 대학의 연간계획)을 올림픽에 맞춰 운용할 것을 촉구했다.
도쿄신문은 “공문은 대학들이 수업 시작시기 등을 문부과학성에 알리지 않고 임의로 바꿔도 된다고 밝히고 있다”며 결국 대학이 당국 몰래 학사일정을 바꾸는 것을 정부가 직접 나서 유도하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이미 2020년 학사일정을 평년과 다르게 고치는 대학들이 나오고 있다. 도쿄 고쿠시칸대는 2020년 1학기 수업과 시험을 7월 23일까지 마치고, 대회기간은 ‘특별과제연구기간’으로 정해 수업을 하지 않기로 했다. 수도대학도쿄도 기말시험을 올림픽 개막 전에 종료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부 대학에서는 과거 자원봉사 경험자의 강연이나 자원봉사 의미를 배우는 수업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야마모토 아쓰히사 세이조대 심리사회학과 교수는 “국가가 자원봉사에 협력하라고 대학 등에 ‘선동’을 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며 “대학이 심혈을 기울여 만들어 놓은 학사일정을 상부의 관점에 따라 바꾸라는 것은 자발성을 바탕으로 한 자원봉사의 의미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저널리스트는 자원봉사가 취업용으로 변질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했다. 그는 “일본의 기업문화는 ‘멸사봉공’인데, ‘한여름 폭염 속에서 힘들게 자원봉사를 했다는 것은 잔업을 마다하지 않고 일하는 근면한 적성의 지표’라며 이를 채용에 반영하는 기업이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18-08-06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