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출신 한가은 이주여성센터 사무국장
한가은 한국이주여성센터 사무국장
→올해 이주여성인권센터(이하 센터) 사무국장이 됐다. 처음 활동을 시작한 계기는.
-2006년 결혼 2년차에 시장에 갔다가 우연히 순댓국집 아주머니가 다른 베트남 며느리를 소개해 줬다. 그 친구를 통해 한국어 교실에 다녔다. 1년이 지난 2007년 센터에서 활동가로 일하자는 제안을 받았다. 베트남에서 일을 해 본 적도 없어 부담스러웠다. 하지만 내가 이주여성들에게 도움을 주고 나도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아 하루 만에 하겠다고 했다. 귀화는 2012년에 했다.
→이주여성으로서 시민단체 활동을 하는 게 쉽지 않았을 텐데.
-당시 내가 센터에서 유일한 이주민이었다. 복사, 우편물 부치기 등 작은 일부터 배우며 적응할 수밖에 없었다. 통역을 맡으면서 상담까지 활동을 넓혔다. ‘당사자가 나서야 한다’는 무언의 압력도 있었다. 한국어 실력을 늘리려고 신문도 읽고 퇴근 후에 교육도 받았다. 강도 높은 훈련이었다.
→유일한 이주민 상담가이자 활동가로서 강점은.
-이주여성들이 마음을 더 잘 연다. 비슷한 경험도 많고 언어도 통하기 때문이다. 그들이 동질감을 느끼는 만큼 나도 그들의 요구를 더 잘 파악할 수 있다. 인권 활동이나 캠페인에 나섰다가 전과가 남아 국적을 못 받을까봐 걱정도 했지만 강점을 살려야 한다는 생각이 더 컸다.
→한국인 상담사가 아니라서 차별받은 적은 없나.
-이주여성들의 남편이나 시댁도 사람 봐 가며 대한다. 같은 상담사라도 한국 사람보다 이주민을 얕본다. 자기 아내한테 함부로 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우리도 그냥 외국인이라고 본다. 아내를 때린 남편이 술 먹고 찾아와 행패를 부린 적도 있다. 외부 기관도 내가 사무국장인데 굳이 한국 사람을 찾는다. 이주민들이 통역만 하고 결정권을 가진 직책을 맡지 못하다 보니 그런 것 같다. 초반에는 말투 때문인지 보이스피싱 사기범으로 오해받기도 했다.
→10여년을 돌아보면서 자신에게 생긴 가장 큰 변화는.
-성격이 많이 까칠해졌다(웃음). 또 활발해졌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 내가 도운 사람들이 성장한다는 것이 가장 기쁘다. 이주여성들은 자칫 남편만 보고 살다가 고립되기 쉽다. 여러 사회적 관계를 통해 자원을 얻는 게 중요하다. 나도 연대할 수 있는 사람이 많이 생겼다. 최근에는 처음으로 이주여성들의 삶을 엮은 책 ‘아무도 모르는 이야기’를 출간했는데 뿌듯한 순간이었다.
→한국 사회와 선주민(先住民·이주민의 상대어)들이 더 노력해야 하는 부분은.
-다문화 정책이 정상 가정 위주라는 한계가 있다. 2008년 다문화가족법 제정 후 지원 체계가 많이 자리잡았고 지자체도 노력한다. 하지만 이혼 가정, 한부모 가정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있다. 선주민 교육도 부족하다. 한국 사람도 같이 적응한다는 개념을 가져야 한다.
글 사진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18-08-13 1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