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100세를 위하여] 가난, 질병, 외로움…준비 안 된 노년이 겪을 고통

[행복한 100세를 위하여] 가난, 질병, 외로움…준비 안 된 노년이 겪을 고통

입력 2013-05-06 00:00
수정 2013-05-06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신문이 5일 실시한 심층조사에 참여한 은퇴 전문가 16명은 누구든지 퇴직 이후 재정적인 어려움, 체력의 한계와 질병, 심리적인 우울감, 가족 간 불화 등의 문제를 한꺼번에 맞이하기 마련이라고 지적했다.

2018년 예상되는 고령화 관련 사회문제별 전문가 의견을 들은 뒤 심각하다고 지적한 순서대로 가중치를 부여, 100점 만점 지수로 환산해 봤다. 60~74세(현재 55~69세)의 경우 ‘빈곤 및 생활비 부족’(85.7)-‘실업’(83.9)-‘고독감 및 우울증’(71.4)-‘질병’(54.5) 등의 순으로 심각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75세 이상(현재 70세 이상)의 경우에는 ‘빈곤 및 생활비 부족’(94.6)이 가장 절박한 문제로 꼽혔다. 이어 ‘질병’(86.6)-‘고독감 및 우울증’(75.9) 등이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이다. 박인섭 교보생명 노블리에지원팀장은 “60대 이상은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이후 조기 퇴직을 경험했고, 50대도 정년을 못 채우고 퇴직하는 이른바 ‘삼팔선’(38세 퇴직), ‘사오정’(45세 정년) 등의 고용 불안정을 경험한 세대”라면서 “노후 준비를 할 수 있었던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노인들이 일을 하거나 자녀 부양을 받지 않을 경우 생계에 곤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은퇴 시점부터 연금을 받기까지의 ‘크레바스 기간’(소득 없는 틈새기)이 5~7년으로 다른 나라보다 길어 추가 정년 연장 논의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년 연장 이외에 시급한 고령화 이슈로는 ‘노인 일자리 창출’과 ‘은퇴교육 활성화 및 평생교육 사회 구축’을 꼽았다. 각각 31%씩의 지지를 얻었다. 그다음으로는 ‘노인빈곤 문제 해결’(16%)-‘민간연금 활성화’(13%)-‘공적연금 재정확충’(6%)-‘노인 이동권 보장 등을 위한 사회 인프라 구축’(3%)이 꼽혔다. 김진영 삼성증권 은퇴설계연구소장은 “기존 고령층처럼 자신보다 가족을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베이비부머도 사고의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그렇더라도 은퇴 문화와 노인 문화를 바꾸는 기폭제 역할은 분명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이성원 기자 isw1469@seoul.co.kr

2013-05-0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