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야크 알파인 클럽 입소문… 명산 등정 성공땐 성취감 높여”

“블랙야크 알파인 클럽 입소문… 명산 등정 성공땐 성취감 높여”

이종락 기자
입력 2020-07-09 20:28
수정 2020-07-10 14: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정배 블랙야크 사업부장

이미지 확대
김정배 블랙야크 사업부장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김정배 블랙야크 사업부장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요즘엔 블랙야크의 등산복이나 등산 장비를 갖춘 등산객들이 압도적으로 눈에 띈다. 7월 현재 16만 6050여명이 블랙야크 알파인 클럽(BAC)에 등록해 전국 100대 명산과 백두대간, 낙동정맥을 누비고 있기 때문이다. 블랙야크만의 이런 이벤트는 김정배(43) 사업부장이 2013년부터 기획했다. 김 부장은 ‘엄홍길재단’에서 다양한 산악 지원 업무를 담당해 오다 지난 2011년 블랙야크에 합류했다.

“등산이 아저씨, 아줌마들의 전유물처럼 돼 버린 것을 세련된 모습으로 알려주고 싶었다”는 김 부장은 페이스북에 착안해 산을 통한 인적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주력했다. 2013년 3000명만 모집해 40개 산 등정을 기획했다. BAC 애플리케이션(앱)을 다운로드한 후 가입만 하면 누구나 플랫폼에서 운영 중인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산 정상에서 찍은 본인의 사진을 BAC 앱에 올리면 각 산의 전문가인 셰르파가 인증한다. 산의 높이만큼 포인트를 부여해 블랙야크 전국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한다. 참가자가 늘어나자 100대 명산에 이어 100대 명산 완주자를 위한 100+ 명산, 백두대간, 낙동정맥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등산객이 삼천리 방방곡곡을 누빌 수 있도록 했다. 하산 시 등산로 근처의 쓰레기를 담은 봉투를 가져오면 포인트를 주는 클린마운틴365 프로그램도 대성공을 거뒀다. 이런 각종 이벤트를 합한 인증 누적수가 지난 7일 현재 276만 8432건에 이른다. BAC 활동을 통해 연대감을 형성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는 물론 구매력도 높아지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진 것이다.

“등산은 자신의 비용과 시간, 노력이 더해져야 의미가 크다”고 강조하는 김 부장은 “회원들에게 명산 등정이라는 목표와 성취감을 부여하고 적절한 보상을 주면서 건강한 삶을 만들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게 제일 큰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종락 논설위원 jrlee@seoul.co.kr



2020-07-10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