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창고’는 119년 역사의 서울신문 DB사진들을 꺼내어 현재의 시대상과 견주어보는 멀티미디어부 데스크의 연재물입니다.
1963.9.23 서울신문 DB
분무기로 소독약 분사
서울역에서 방역관계자가 분무형 소독기로 이용객들에게 소독약을 분사하고 있다.
1963.9.23 서울신문 DB
1963.9.23 서울신문 DB
지금으로부터 60년 전인 1963년 한국에도 심각한 전염병이 발병했다.‘엘톨형 콜레라’가 그것이다. 이 전염병은 치명률은 낮지만 불현성 감염 즉 무증상감염률이 높은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금줄 하나로 콜레라 발병지역 통제
콜레라가 발생한 서울 마포구 현석동에서 경찰로 보이는 한 남자가 금줄을 쳐놓고 시민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1963. 9. 23 서울신문 DB
1963.9.23 서울신문 DB
예방주사를 맞기 위해 다닥다닥 붙어 있는 시민들
서울시민들이 콜레라 예방주사를 맞기 위해 다닥다닥 붙은체 줄을 서고 있다.
1963.9.23 서울신문 DB
1963.9.23 서울신문 DB
한 칸 띄어앉기
학원·독서실, 백화점·대형마트 등 법원이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해제한 시설에 대해 정부가 7일부터 밀집도 제한 등 방역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학원은 7일부터 2㎡당 1명 또는 좌석 한 칸 띄어 앉는 방역수칙을 지켜야 한다. 칸막이가 있으면 띄어앉지 않아도 된다. 독서실 등은 칸막이가 없는 경우 좌석을 한 칸씩 띄어 앉도록 했다. 7일 서울의 한 스터디카페에서 학생들이 공부를 하고 있다. 2022. 2. 7 정연호 기자
방역 중인 예술의 전당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방역지침을 철저하게 지키며 관객들을 기다렸던 공연장들이 사회적 거 리두기 2.5단계 강화로 두 좌석 띄어 앉기가 의무 화되자 줄줄이 문을 닫고 있다. 사진은 소독 작업 중인 서울 예술의전당 공연장 모습. 2020. 12. 7 예술의전당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