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全大 ‘돈 봉투 의혹’ 후보·기업 투트랙 수사
한나라당 2008년 7·3 전당대회 돈 봉투 살포를 수사 중인 검찰이 전대 자금의 출처로 기업을 사실상 지목하면서 수사가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박희태 국회의장을 비롯한 당시 전대 후보들에 대한 수사와 이들에게 자금을 댄 기업에 대한 수사가 동시에 ‘투 트랙’으로 진행되는 형국이다.검찰은 먼저 박희태 캠프에 관광·레저기업인 라미드그룹(옛 썬앤문그룹) 자금이 유입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 중이다.


박 후보 측과 선거 공조를 했던 공성진 전 최고위원 캠프에 대한 수사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당시 전당대회가 친이(친이명박)계와 친박(친박근혜)계 간 유례 없는 계파갈등을 벌였다는 점에서 각 캠프가 선거에 사활을 걸었고 자금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을 것이라는 분석은 수사 초기부터 정치권 안팎에서 나왔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친이계는 당시 전대에서 친박인 김성조·허태열 후보가 뽑혀서는 안 된다며 표 단속이 심했다.”면서 “1인 2표에서 1표는 박 후보, 나머지 한 표는 공 후보를 선택하는 형식으로 선거가 진행됐다.”고 말했다.
검찰은 공 전 최고위원 캠프가 A업체로부터 2억여원을 받은 것을 비롯해 B·C업체 등 기업 3~4곳에서 자금을 지원받은 정황을 포착하고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2008년 당시 기준으로 40억원대 자산가였던 박 후보와 달리 공 전 최고위원으로서는 기업 등 외부의 지원이 필요했을 것이라는 게 국회 안팎의 시각이다. 정몽준 당시 후보 등 다른 전당대회 후보에 비해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졌던 공 전 최고위원 측은 표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공 전 최고위원은 당시 선거를 기점으로 당내 영향력을 확대하고 향후 지방선거(서울시장)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전대 때 보통 20~30개 기업이 후원한다.”고 밝혀 검찰 수사 향방에 따라서는 재계에 메가톤급 쓰나미가 몰아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안석·배경헌기자 ccto@seoul.co.kr
2012-01-3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