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선택형수능 논란에 주목…우려 표명

인수위, 선택형수능 논란에 주목…우려 표명

입력 2013-01-16 00:00
수정 2013-01-16 1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과부서 추후 재보고 받기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올해부터 실시되는 ‘선택형 수능’ 유보 논란에 주목하고 우려를 표명하면서 교과부로부터 재보고를 받기로 한 것으로 16일 알려졌다.

이에 따라 향후 정책 방향에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이 문제는 연세대ㆍ고려대 등 주요 사립대 9개교 입학처장이 올해부터 치러지는 선택형 수능을 유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뒤 진학지도 교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교총 등이 찬ㆍ반 논쟁에 가세하면서 교육계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대통령직인수위에 따르면 15일 교육과학분과의 교육과학기술부에 대한 업무보고에서 인수위원들이 선택형 수능 시행에 문제가 없는지 우려를 표하면서 추후 구체적인 내용을 다시 보고하라고 주문했다.

교과부는 선택형 수능 유보를 둘러싼 논란이 있지만 이 내용이 박 당선인의 교육공약에 없었다며 이 부분을 아예 업무보고에 포함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전날 인수위원들이 먼저 선택형 수능 논란을 언급하면서 관련 내용을 추가로 보고할 것을 주문하자 내부적으로 당혹해하며 보고 자료 만들기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교과부는 예고대로 선택형 수능을 시행하겠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으며, 전날 업무보고에서도 이 점을 강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교과부는 주요 사립대 입학처장과 진학교사들의 반대로 촉발된 선택형 수능의 시행 유보 주장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는 것 자체가 고교 현장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는 데다 수능 제도의 신뢰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앞서 인수위는 여러 차례 “인수위가 새 정책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당선인의 공약 실천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각 부처에 통보한 ‘7대 업무보고 지침’에서 주요 당면현안 정책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당선인 공약에서 선택형 수능 관련 내용이 없었더라도 이 문제가 교육계의 가장 큰 현안이기 때문에 인수위에서의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현재 선택형 수능 유보에 대한 정부와 대학, 교사들의 의견이 뒤죽박죽이 되면서 결국 최종 피해자가 수험생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중앙정부 고교 무상교육 ‘반쪽 지원’ 그쳐…서울교육재정 큰 타격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22일 입장문을 내고 “올해 고등학교 무상교육 국고 지원이 1년분이 아니라 6개월분만 주는 것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지방재정의 어려움을 감안해 중앙정부는 반쪽이 아니라 온전한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4일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이 개정돼 고교 무상교육에 대한 중앙정부 재정지원의 근거가 다시 생겼음에도 올해 지원분은 1년분이 아니라 6개월분만 주겠다고 서울교육청에 통보했다. 1년분(1614억원)을 기대했던 서울교육청으로서는 6개월분(807억원)만 받게 돼 올 하반기에 감액 추경을 해야하는 실정이다. 교육위원장 안으로 국회를 통과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은 지난해 말 종료되었던 고교 무상교육에 대한 중앙정부 지원(필요금액의 47.5%)을 2027년 말까지 다시 시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서울교육청은 교육부 등은 법 통과가 8월이므로 올 상반기분은 줄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최 의장은 “그러나 25년도 중앙정부 예산총칙에는 교부금법이 개정되면 무상교육 소요경비를 주도록 규정되어 일반회계 목적예비비로 재원은 이미 편성되어 있다”며 “집행근거가 연내에 마련됐으므로 예산에 이미 반영된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중앙정부 고교 무상교육 ‘반쪽 지원’ 그쳐…서울교육재정 큰 타격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