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
안 전 교수 측 윤태곤 공보팀장은 21일 SBS 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 “우리도 크게 보면 범야권”이라며 “박근혜 정부를 견제할 때는 견제한다”고 밝혔다.
그는 “민주통합당과 진보정의당이 생각하는 중요한 방안들을 저희도 생각하고 있는데 결은 조금 다르다”며 “새 정치의 씨앗을 노원에서부터 뿌리겠다”고 밝혔다.
정기남 전 대선캠프 비서실 부실장도 tbs라디오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에 출연해 야권연대 전망에 대해 “기본적으로 모든 문이 열려 있다”며 “야권과의 관계에 대해 적대적이거나 배타적으로 보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그는 “더 나아가 민주당, 진보정의당 등 각 당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한다”면서 “민주당 등 기성정치 세력은 혁신에 매진하고 안 전 교수는 현실정치 속에서 역량을 검증받는 것이 필요하다. 정리하자면 ‘선의의 경쟁 속 협력관계’”라고 밝혔다.
안 전 교수 측의 이 같은 발언은 지역 선거를 앞두고 신당 창당 등 독자적 정치세력화 논의에 매몰될 경우 발생할 부정적 여론을 최소화면서 앞으로 안 전 교수의 정치 행보에서 야권 지지자들을 끌어안고 가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또 이를 통해 민주당 내에서 확산하는 ‘노원병 무공천’ 여론에 명분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안 전 교수는 최근 박원순 서울시장, 김성환 노원구청장 등 민주당 소속 자치단체장과 잇달아 만나며 민주당과 간접적으로 스킨십을 해왔다.
무소속 송호창 의원, 정기남 전 부실장 등 민주당 출신의 안 전 교수 측 인사들도 민주당 인사들과 물밑 접촉을 꾸준히 이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안 전 교수 측은 확대해석을 경계하면서도 야권 전체의 대안적 수권세력화를 위해서는 민주당 등 야권과의 협력 관계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안 전 교수 측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선 기간 현 정권의 집권 연장을 반대했던 안 전 교수가 스스로를 범야권이라고 보는 것은 당연하다”며 “야권 내 세력들이 쇄신안과 정책으로 협력하고 경쟁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연대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안 전 교수 측은 당장 노원병 야권 후보 단일화에 대해 ‘정치공학적 접근은 하지 않는다’며 선을 긋고 있다.
윤 팀장은 “어느 후보가 갑자기 한 사람 손을 들어주면서 사퇴하는 식은 상계동 주민들이 바라는 뜻이 아닌 것 같다”며 “뜻을 같이하는 여러 분들과 마음을 열고 이야기를 나눌 순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안 전 교수의 민주당 입당 가능성에 대해서도 “현실적으로는 어려움이 있지 않나 싶다”며 “국민과 민주당 지지자들이 안 전 교수에게 거는 기대도 그런 쪽은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안 전 교수 측은 현재 신당 창당 논의를 하고 있지 않으며 야권연대 가능성은 열려 있다는 입장이지만 지난 대선에서 표출된 민주당과의 갈등, 여야에 모두 거리를 둔 안 전 교수의 발언 등을 고려했을 때 안 전 교수가 독자 세력화를 모색할 가능성을 여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