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김현 진선미 의원의 국정원 국조특위 배제 여부를 놓고 ‘자중지란’에 빠진 가운데 문재인 의원의 침묵이 계속 되고 있다.
’국정원·NLL(북방한계선) 정국’의 한가운데서 연일 돌직구를 날리며 대여 공세의 선봉에 서 왔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김현 의원은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춘추관장을 지낸 친노(친노무현) 핵심 인사이며, 진선미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캠프 대변인을 맡았던 대표적 친문(친문재인) 인사로 꼽힌다.
문 의원과 가까운 한 의원은 1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박근혜정부와 새누리당의 국기문란 사건과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발언’ 왜곡에 대해서는 당연히 맞서 싸워야 하지만 문 의원이 당내 갈등 사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또다른 의원도 “이 문제는 지도부가 현명하게 풀어나가야 할 사안”이라며 “문 의원이 직접 나서서 가타부타 말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문 의원이 어떤 식으로든 엉킨 실타래를 풀어줘야 한다는 시각도 고개를 들고 있다.
한 재선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도부로선 새누리당의 부당한 요구를 그대로 수용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국조를 계속 파행시킬 수도 없어 코너에 몰린 상황”이라며 “문 의원이 가르마를 타줘야 하는 게 아니냐는 당내 여론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실제 전날 열린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도 문 의원이 교통정리에 나서주는 게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원내지도부 인사는 “문 의원이 이럴 때일 수록 지도부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한마디 한다면 큰 ‘원군’이 되겠지만, 드러내놓고 도움을 요청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 아니냐”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정원·NLL(북방한계선) 정국’의 한가운데서 연일 돌직구를 날리며 대여 공세의 선봉에 서 왔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김현 의원은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춘추관장을 지낸 친노(친노무현) 핵심 인사이며, 진선미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캠프 대변인을 맡았던 대표적 친문(친문재인) 인사로 꼽힌다.
문 의원과 가까운 한 의원은 1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박근혜정부와 새누리당의 국기문란 사건과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발언’ 왜곡에 대해서는 당연히 맞서 싸워야 하지만 문 의원이 당내 갈등 사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또다른 의원도 “이 문제는 지도부가 현명하게 풀어나가야 할 사안”이라며 “문 의원이 직접 나서서 가타부타 말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문 의원이 어떤 식으로든 엉킨 실타래를 풀어줘야 한다는 시각도 고개를 들고 있다.
한 재선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도부로선 새누리당의 부당한 요구를 그대로 수용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국조를 계속 파행시킬 수도 없어 코너에 몰린 상황”이라며 “문 의원이 가르마를 타줘야 하는 게 아니냐는 당내 여론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실제 전날 열린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도 문 의원이 교통정리에 나서주는 게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원내지도부 인사는 “문 의원이 이럴 때일 수록 지도부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한마디 한다면 큰 ‘원군’이 되겠지만, 드러내놓고 도움을 요청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 아니냐”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