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야권대연합 신호탄 관측속 민주 “국정원개혁에 국한” 선긋기
민주당과 정의당,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국정원 개혁에 대한 야권 단일안 마련 원칙에 공감대를 이루면서 국정원 문제를 고리로 한 야권내 ‘3각 연대’가 탄력을 받는 흐름이다.특히 이러한 공조 움직임은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국정원 개혁과 민주주의 회복을 화두로 제안했던 ‘전국적 연대기구’ 구성과 맞물려 내년 지방선거 등을 겨냥한 ‘신(新)야권대연합’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정의당 심상정 원내대표는 전날 안 의원과 만나 국정원 개혁을 위한 야권 단일법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했으며, 김 대표와 전화통화를 갖고 이러한 입장을 전달했다고 17일 상무위 회의에서 전했다. 안 의원은 이 자리에서 공동 토론회 개최의 필요성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심 원내대표는 지난 14일 ‘전국적 연대기구’의 동력을 원내에서 뒷받침하는 차원에서 국정원 개혁에 대한 야권 단일안을 만들자고 공개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박용진 대변인을 통해 “야권 지도자들이 국민적 관심사인 국정원 개혁에 대해 컨센서스(공감대)를 형성한 것은 민주주의 회복과 국정원 개혁이라는 최종 목표를 도달하는데 있어 의미있는 진전”이라며 환영 입장을 표했다.
김 대표는 국정감사가 끝나는대로 국정원 개혁안 마련을 위한 야권내 실무차원의 협의를 시작한다는 방침이어서 내달초부터 국정원 개혁에 대한 ‘3각 공조’가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과 정의당은 ‘국정원의 수사권 전면 폐지’라는 큰 틀에 궤를 같이 하고 있지만 민주당내에서 아직 당론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데다 안 의원측의 경우 아직 최종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여서 세부조율 과정에서 이견이 빚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무엇보다 민주당은 이 같은 야권내 원내 공조가 자칫 정치권이 주도하는 ‘정치공학적 연대’의 모양새로 비쳐질까 극도로 경계하는 분위기이다.
시민단체와 종교계의 ‘거국적 참여’에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김 대표가 제안한 ‘전국적 연대기구’가 구체화되는 과정에 오히려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실제 민주당은 오는 19일 서울광장에서 국정원 개혁을 주제로 열리는 장외집회에서 외부인사들을 최대한 끌어들여 ‘전국적 연대기구’의 1차 밑그림을 보여준다는 목표를 잡았지만, 연대기구의 출범은 계획보다 늦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외부인사들이 정치권이 주도하는 양상에 일부 거부감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이달말쯤이면 연대기구의 얼개가 갖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점을 의식한 듯 민주당은 대변인의 입장발표를 통해 “정치권 중심의 야권연대를 추진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강조한다”며 “국정원 개혁에 뜻을 같이 하는 정치인의 참여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이는 국정원 개혁이라는 단일사안에 국한된 것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안 의원측도 사안별 연대는 가능하지만 기구 참여에는 부정적 입장이다. 독자세력화를 모색하는 입장에서 선뜻 ‘N분의 1’로 발을 담그기가 흔쾌하지만은 않을 수 있는 상황인 탓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