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종환 “교학사 1천500곳 수정해도 친일 서술 여전”

도종환 “교학사 1천500곳 수정해도 친일 서술 여전”

입력 2013-12-11 00:00
수정 2013-12-11 17: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학사 교과서 최종본 토론회서 분석결과 발표

교학사 교과서가 검정과정과 수정·보완 권고, 수정명령을 거치면서 고친 곳이 1천500여곳에 달하지만 여전히 표기 오류가 많을 뿐 아니라 친일적 서술도 그대로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당 도종환 의원은 11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민주당 역사교과서 친일독재 미화·왜곡 대책위원회와 뉴라이트역사교과서 검정무효화 네트워크 주최로 열린 ‘교학사 역사교과서 최종본 분석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교학사 교과서 최종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도 의원은 “교학사 교과서는 검정합격이 발표된 이후 251건의 수정·보완 권고를 받고 375건을 자체 수정했다”며 “그중에는 사진 및 인용자료 출처를 227건 수정했음에도 단 한 건으로 처리했고, 같은 페이지 또는 같은 문장에 대한 오류 47건을 한 건으로 처리했는가 하면 100여곳 이상의 띄어쓰기 오류는 숫자에 포함하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검정 당시 고친 479건을 포함하면 교학사 교과서가 그동안 수정한 사항은 모두 1천500여곳에 달한다고 도 의원은 설명했다.

그럼에도 ‘영조 말년’을 ‘영조 만년’으로, ‘모양과 질이 조잡하여’를 ‘모양과 질이 조합하여’로 쓰는 등 오탈자 사례 64곳 중 16곳이 수정되지 않았고, 비문사례 36곳 중 16곳, 띄어쓰기 오류 42곳 중 19곳 등이 고쳐지지 않아 “여전히 부실 덩어리 교과서’라

고 비판했다.

도 의원은 나아가 “수정된 교과서는 식민지 근대화론에 의해 기술된 친일 교과서”라며 친일 시각의 서술이 여전하다고 꼬집었다.

예컨대 일제의 쌀 수탈을 ‘쌀 수출로 지주의 경제력은 더욱 커졌으나’(244쪽)로 표현한 것이 지적되자 교학사 측은 그 부분만 고치고 279쪽에는 여전히 ‘쌀 수출’로 표현했다.

또 의병을 ‘토벌’했다는 표현은 일본 입장의 서술이라는 지적에 해당 부분만 바꾸고 다른 페이지인 240쪽에서는 여전히 ‘토벌’이란 용어를 사용했다.

관동대지진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라는 요구는 아예 반영하지 않고 “1923년 관동대지진 때는 많은 사람들이 학살되는 참사를 당했다”라고만 서술해 “누가, 왜, 어떻게 학살됐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었다”고 도 의원은 말했다.

그는 교학사 교과서가 또 일제 자본의 조선 침탈을 ‘1920년대부터 조선으로 자본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들 기업은 조선의 값싼 노동력을 이용해 큰 이익을 올렸다’는 식으로 기술한 점을 언급하며 “교학사 교과서는 ‘진출’과 ‘침탈’을, ‘착취’와 ‘이용’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도 의원은 “이 교과서대로 공부하면 우리는 시간관념도 없는 전근대적인 생활을 했고 미개한 민족이었으며, 일제 식민지를 통해 비로소 무지한 상태에서 벗어나 근대적인 민족으로 개조되는 것”이라며 “이것이 식민지 근대화론”이라고 주장했다.

같은 당 유은혜 의원은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검정·수정 절차상 문제 검토’란 주제 발표에서 “전시본이 공급되는 18일을 기준으로 선정 완료일인 30일까지 휴일을 제외하면 7∼8일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며 “8종 교과서 검토, 교과협의회 진행,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최종 선정 등의 과정을 짧은 시간 내에 진행하기 어려워 부실·졸속 선정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방학을 포함한 짧은 시간에 선정이 진행되면 학교장의 독단이나 외부단체에 의한 부당한 개입에 교사들이 미처 대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결국 피해는 교사들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