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부 무능이 희생 키워… 강병규 장관 당장 사표 내라”

여야 “정부 무능이 희생 키워… 강병규 장관 당장 사표 내라”

입력 2014-05-15 00:00
수정 2014-05-15 05: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위층 의전 탓 골든타임 허비”… 진선미, 녹취록 공개

지난달 세월호 참사 당일 중앙부처 공무원에 대한 의전 때문에 초기 구조 활동의 ‘골든타임’을 허비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진선미 의원은 14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처음 열린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현안보고에서 사건 발생 직후 119 상황실과 목포해경상황실 간의 통화 녹취록을 공개했다.

눈물 질의에 호통치고 머리 긁고
눈물 질의에 호통치고 머리 긁고 강병규(오른쪽) 안전행정부 장관이 14일 세월호 참사 관련 현안보고를 위해 참석한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쏟아지는 질타에 곤혹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서청원(가운데) 새누리당 의원이 참사 당시 안이했던 정부 당국 대처를 질타하고 있다. 진선미(왼쪽)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질의 도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녹취록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오전 8시 58분부터 시작된 통화에서 소방방재청 전남본부 소방상황실은 “보건복지부와 중앙부처에서 지금 내려오고 있다는데 서거차도는 섬이라서 못 간다”며 구조자 이송지를 팽목항으로 바꾸라고 요구했다. 이에 해경 측이 “구조하는 게 우선이기 때문에 가까운 섬에 내려놓고 구조하러 가야 한다”고 답하자 소방상황실은 다시 전화를 걸어 “중앙정부에서 집결해 팽목항에 대기하고 있는데 서거차도에서 다른 데로 가버리면 다 붕 뜨게 된다”고 다시 이송지 변경을 촉구했다. 그러자 해경 측은 “높으신 분이 서거차도로 오든 팽목으로 오든 우리는 모르겠고, 우린 한 사람이라도 구조하는 게 우선”이라고 답했다.

진 의원은 “당시 소방상황실은 구조가 아니라 고위 공직자 앞에 구조된 사람들을 보여줘야 하는 의전이 먼저였다”며 “119 상황실은 전남 소방본부장의 진두지휘로 구조자를 이송하는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 해경의 구조를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소방방재청은 “당시 중앙 차원의 사람들이란 보건복지부, 중앙119구조본부의 긴급구조지원 인원이므로 의전과는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당시 실제로 의료진 22명, 구조단 25명이 팽목항으로 내려오고 있었다.

의원들은 여야를 막론하고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을 비롯한 정부의 무능한 대처가 사고를 키웠다고 질타했다. 새정치연합 이찬열 의원은 “재난본부장인 장관이 일을 제대로 안 했으니 우왕좌왕 난리가 났고 이게 희생자가 늘어난 단초가 됐다”고 비판했다. 새누리당 내 비주류인 이재오 의원은 청와대 보고가 늦었음을 지적하며 “이런 정부가 어디 있느냐. 뇌물 주고받는 것뿐 아니라 공직자의 정신적 타락도 부패”라며 “이 사태의 원인이 정부의 부패와 눈치 보기에 있다”고 정부를 정조준했다.

새누리당 서청원 의원은 “여야가 세월호 참회 특별법에 근거해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광범위한 조사를 하고 재난 대비 체계의 혁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새정치연합 이해찬 의원은 “안행부 장관 해임 건의안을 제안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의원들은 작심하고 분노를 표출했다. 서 의원은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 강 장관에게 “오늘 당장 사표를 내라”고 호통친 뒤 회의장을 박차고 나갔다. 같은 당 황영철 의원은 “안전행정부 이름 바꿔”라고 소리쳤다. “이따위”, “당신”, “제정신이냐” 등 격한 표현을 쓴 의원들도 있었다. 새누리당 김현숙, 새정치연합 진선미·문희상 의원 등은 질의 도중 감정을 억누르지 못하고 울먹이거나 눈물을 흘렸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4-05-1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2 / 5
2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