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당원 경선 반영 비율 격론
4·13 총선의 공천 규칙을 둘러싼 새누리당 내 계파 갈등의 초점이 결국 ‘기득권 내려놓기’냐, ‘낙하산 공천 차단’이냐로 모아지는 양상이다. 친박(친박근혜)계는 현역 물갈이론을 통한 기득권 철폐가 ‘개혁 공천’이라 외치고 있고, 비박(비박근혜)계는 찍어 내리기식 전략 공천 차단을 ‘개혁 공천’이라 주장하고 있다. 외견상 양측 주장 모두 명분이 두둑하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결국 ‘내 편 챙기기’로 귀결되는 분위기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가 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20대 총선 후보 경선 여론조사 시 가·감점 부여 조건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권성동 의원, 위원장인 황진하 사무총장, 홍문표 의원.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날 회의에서도 절충점은 찾아지지 않았다. 경선 시 국민과 당원의 표심 반영 비율을 놓고 친박계는 현행 규정인 5대5를, 비박계는 국민공천제 취지를 살려야 한다며 7대3을 주장해 격론이 오갔다. 당 안팎에서는 위원 일부가 자기 지역구 사정을 언급하며 본인 공천에 유리한 규칙을 관철시키려 한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다음 회의는 오는 6일 오후 2시에 열린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6-01-0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