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교동계 좌장’ 탈당, 친노와 결별… 야권 재편 가속화

‘동교동계 좌장’ 탈당, 친노와 결별… 야권 재편 가속화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16-01-12 23:52
수정 2016-01-13 04: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권노갑 “더 이상 희망 없다 제3지대서 야권 통합 주력”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가신그룹 동교동계의 좌장인 더불어민주당 권노갑(86) 상임고문이 탈당했다. 권 고문의 탈당은 정치적으로는 2003년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불편한 동거를 이어 온 동교동계와 친노(친노무현)의 결별을 뜻한다. 동교동계가 호남 민심을 좌우할 만한 현실적 힘을 지닌 것은 아니다. 다만, 호남 내 반문(반문재인) 정서를 강화하고 야권 재편을 가속화할 것이란 데는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다. 권 고문은 안철수 의원의 국민의당에 합류하는 대신 제3지대에서 야권통합에 주력하기로 했다.

이미지 확대
12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탈당 기자회견을 마친 권노갑 상임고문이 취재진의 질문을 받으며 회견장을 나가고 있다. 권 고문 바로 오른쪽 뒤는 이훈평 전 의원.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12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탈당 기자회견을 마친 권노갑 상임고문이 취재진의 질문을 받으며 회견장을 나가고 있다. 권 고문 바로 오른쪽 뒤는 이훈평 전 의원.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권 상임고문은 12일 기자회견에서 “참담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다. 60여년 정치 인생 처음으로 몸담았던 당을 스스로 떠나려고 한다”며 “정권 교체의 희망과 믿음을 주지 못한 정당으로는 더이상 희망이 없다는 확신과 양심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옥두·이훈평·남궁진·윤철상·박양수 전 의원 등 동교동계 10여명도 탈당계를 제출했다. 1961년 강원 인제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김 전 대통령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한 권 상임고문은 2009년 8월 김 전 대통령이 서거하기 전까지 50년을 함께한 동교동계 맏형이다. 지난해 12월 문재인 대표와 만나 ‘사퇴해 2선 후퇴하고 비대위로 가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문 대표가 거부하자 탈당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다.

손학규계 최원식(인천 계양을) 의원도 이날 탈당 뒤 국민의당 합류를 선언했다. 이로써 지난달 안 의원 탈당 이후 더민주 의석 수는 127석에서 115석으로 줄어들었다.

권 상임고문의 회견이 열리던 시간, 국회 당대표실에서 삼성전자 첫 고졸 여성 임원인 양향자(49) 상무의 입당식에 참석한 문 대표는 “탈당 움직임들이 무척 아프다”면서 “호남 민심이 반영된 것으로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새롭게 당을 만든다는 각오로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문 대표 측 관계자는 “다음주쯤 총선기획단과 선거대책위원회의 얼개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전남 화순 출신인 양 상무는 광주여상을 졸업한 뒤 삼성전자 연구보조원으로 입사해 ‘유리천장’을 뚫고 2014년 상무로 승진해 화제를 모았다. 그는 총선 출마와 관련, “제가 태어난 전남·광주 시민들과 함께하고 싶은데 당과 협의해서 정해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6-01-1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