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축소론’ 오세정 국민의당 당선자
최근 ‘교육부 축소론’ 발언으로 주목을 받았던 국민의당 오세정 비례대표 당선자는 8일 “교육부의 권한을 최대한 줄이고, 대학입시도 대학별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오세정 국민의당 당선자
오 당선자는 2014년 서울대 총장 후보 시절에도 입시정책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관련 공약을 내세웠다. 성낙인 현 총장과 함께 최종 후보 3인에 이름을 올렸으나 끝내 고배를 들었다. 20대 국회에서는 당내 ‘교육통’으로 과학기술 및 교육 분야에 전문성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 당선자는 “어느 대학은 수시를 많이 뽑고, 어느 대학은 정시 비중을 늘리는 등 대학별로 특성에 맞게 입시 제도를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교육부가 ‘이건 해라, 이건 하지 말아라’는 식으로 간섭하고 있는데, 대학들이 알아서 하도록 풀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국민의당은 4·13 총선 공약을 통해 학생부종합전형(입학사정관제) 비중을 대폭 축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오 당선자는 이에 대해서는 “어떤 학부에서는 학생들의 잠재력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솔깃한 입시제도일 수도 있다”고 당의 생각과 다른 입장을 밝혔다. 안철수 상임공동대표가 2012년 대선 공약으로 검토했던 수능 폐지와 관련해서는 “수능은 인재를 키울 수 있는 제도는 아니다”면서도 “그래도 기본적인 평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수능을 폐지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오 당선자는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대신, 결과에 대한 책임도 잇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율과 책임은 동전의 양면”이라며 “대학들에 자율을 보장하되 결과에 문제가 생긴다면 정부가 나서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했다. 또 “그동안의 공식 발언 등에 비춰볼 때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도 교육부 역할 축소에 공감하는 것 같다”고도 전했다.
오 당선자는 기업 구조조정에 따라 대량 실업 사태가 우려되는 데 대해 “실업자들의 재취업을 지원하는 교육 시스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실업이나 퇴직을 하고 나서도 새 기술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찾도록 하는 평생교육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6-05-0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