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강석주 빈자리, 리수용-리용호 ‘투톱’이 채운다

北 강석주 빈자리, 리수용-리용호 ‘투톱’이 채운다

입력 2016-05-21 11:41
수정 2016-05-21 1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7차 당대회서 외교라인 교체…‘고립돌파’ 외교에 힘 실릴 듯

북한 강석주 전 노동당 국제담당 비서의 사망으로 북한 외교 엘리트의 세대교체가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조선중앙방송은 강석주 전 비서가 지난 20일 오후 4시 10분께 급성호흡부전과 식도암으로 숨을 거뒀다고 21일 보도했다.

강 전 비서는 이달 초 제7차 노동당 대회에서 기존 당 비서에 해당하는 정무국 부위원장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해 건강 문제로 일선에서 물러났을 것이라는 관측을 낳았다.

당시 북한이 발표한 정무국 부위원장 9명 중에는 리수용 전 외무상이 포함돼 그가 강석주 전 비서의 바통을 물려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리수용이 정무국 부위원장으로 가면서 내놓은 외무상 자리는 리용호가 차지했다. 이번 당 대회를 계기로 북한 외교의 ‘강석주-리수용’ 투톱 체제가 ‘리수용-리용호’로 바뀐 것이다.

리수용-리용호 투톱 체제의 등장은 여러 면에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외교 라인에 힘을 실어줄 신호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리용호 외무상이 이번 당 대회에서 정치국 후보위원에 선출된 점이 주목된다. 리수용 부위원장이 외무상 재임 기간 정치국 위원·후보위원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 것과는 구별된다.

당의 중추기관인 정치국 후보위원에 외무상이 포함됐다는 것은 김 위원장이 그만큼 외교를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해석이 나온다.

리수용 부위원장도 과거 김정은 위원장의 스위스 유학 시절 스위스 주재 북한 대사로서 사실상 후견인 역할을 한 인연을 바탕으로 김 위원장의 각별한 신임을 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이번 당 대회의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가 외교 엘리트의 약진”이라며 “당 대회 이후 북한이 외교 활동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강석주 전 비서가 재임 기간 건강 문제로 활발한 대외 활동을 하지 못했다는 점도 북한이 외교 엘리트의 세대교체로 적극적인 외교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

리수용-리용호 투톱 체제는 올해 초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로 극도로 강화된 고립 국면에 돌파구를 뚫는 데 힘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리수용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은 강석주 전 비서에 비해 유럽 국가에서 오랫동안 대사를 지낸 경력을 갖고 있어 보다 유연한 외교 전략을 펼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성장 실장은 “리수용과 리용호는 북한 외교 라인 중 서방을 잘 아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북한의 외교정책이 변화할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