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권역별 최고위원 ‘1년씩 쪼개기’…“내가 먼저” 샅바싸움

더민주 권역별 최고위원 ‘1년씩 쪼개기’…“내가 먼저” 샅바싸움

입력 2016-08-23 15:06
수정 2016-08-23 15: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역” vs “소외지역 존중” 26일까지 교통정리 계획…나눠먹기 지적도

더불어민주당 시도당위원장 선거가 끝나면서 권역별 최고위원에 진입하기 위한 물밑 샅바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대부분 권역에서 최고위원 임기(2년)를 1년씩 쪼개 돌아가면서 맡는 방안이 거론되는 가운데 첫 임기가 상징성을 띠는 만큼 시도당위원장들이 서로 먼저 자리를 차지하려는 ‘밀고 당기기’가 한창이다.

현역의원은 현역 프리미엄을 내세워, 원외인사들은 권역별 최고위원제 취지가 소외지역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것임을 부각시키며 각각 먼저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선 최고위원을 돌아가며 맡는게 사실상 ‘나눠먹기’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권역별 최고위원은 서울·제주, 인천·경기, 영남, 호남, 강원·충청 등 5개 권역에서 1명씩이며, 시도당위원장 중 호선을 통해 뽑는다. 당대표 후보로 나선 김상곤 전 혁신위원장의 계파주의 청산을 위한 혁신안에 따라 도입한 제도다. 이에 따라 시도위원장이 경선이 지도부 진입을 가리는 ‘전대 예비경선’의 성격을 갖게 된다.

나아가 권역별 최고위원이 어떻게 구성되느냐는 당내 역학구도에도 큰 영향을 줄 전망이다.

23일 당 선관위에 따르면 일정상으로는 26일까지 시도당위원장들이 최고위원 자리를 놓고 자체적으로 ‘교통정리’를 해야 한다.

현역인 김영주 서울시당위원장과 원외인 김우남 제주도당위원장은 각각 수도란 상징성과 소외지역이란 점을 내세워 24일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김영주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위원장의 말씀을 들어보겠다”면서도 “주변에선 서울에서 최고위원이 나와야 한다고 하고, 또 제가 16개 시도당위원장(세종은 사고당부) 중 유일하게 여성”이라고 강조했다.

김우남 위원장도 “김영주 의원이 서울, 여성이란 상징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대화에 임하겠다”면서도 “권역별 최고위원제 취지가 소외지역에서도 최고위원을 한 번씩 하라는 것 아니냐. 돌아가면서 하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전해철 경기도당위원장과 박남춘 인천시당위원장은 둘 다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 세력의 핵심이자 절친한 사이다. 두 위원장은 임기를 나누는 방안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전 의원은 전화통화에서 “권역별 최고위원 취지에 따라 기간은 무조건 나눠 번갈아가며 해야 한다”고, 박 의원도 “번갈아가면서 해야 한다. 꼭 먼저 최고위원을 하겠다고 고집하는 건 아니고, 만나서 얘기해보겠다”고 말했다.

강원·충청은 박범계 대전시당위원장과 도종환 충북도당위원장 간 2파전 양상을 띠는 가운데 역시 ‘임기 쪼개기’ 방식이 거론된다.

박 의원은 전화통화에서 “권역별 최고위원의 취지가 지방분권인데, 임기 내내 한 지역에서 독점하는 것도 곤란하니 임기를 나누는 방법도 고민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도 의원도 “최고위원 역할도 대선후보를 만드는 과정에서의 역할과 경선에서 당선된 후보를 지켜 대선에서 이기게 하는 역할이 나뉘는데 각각 주어진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호남의 이개호 전남도당위원장, 이형석 광주시당위원장, 김춘진 전북도당위원장 역시 조만간 논의할 예정이다.

이개호 의원은 “제가 유일한 현역이어서 주변에선 다 제가 최고위원을 하는 걸로 생각할 수 있지만 원외에도 기회를 줘야 한다”며 “임기를 나눠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른 분들이 먼저 하겠다면 양보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형석 위원장은 “대선을 앞두고 상황이 어려운 광주의 마음을 붙잡아야 한다”며 “먼저 최고위원을 하고 싶지만 내일 다른 분들과 얘기해보겠다”고 밝혔다.

영남지역의 경우 검찰 고발 건으로 인준이 보류된 오중기 경북도당위원장을 제외하고 최인호 부산시당위원장, 임대윤 대구시당위원장, 임동호 울산시당위원장, 정영훈 경남도당위원장이 이미 전날 만났다.

최 의원은 “임기를 1년씩 나누는 데 대해선 어느정도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계속 협의하겠다”고 전했다.

26일까지 자체 교통정리가 되지 않으면 당 선관위가 나서서 조율해야 하지만 대부분 지역이 시한에 맞춰 의견을 정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추이가 주목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