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대선주자 가운데 한명인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이 30일 “당권 불출마 선언 이후 사실상 대선 경선 출마를 준비해왔다”며 대권 도전을 선언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
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잠재적 대선 주자로 거론돼 온 저의 입장을 밝히고자 한다”며 ‘민주당의 생명은 역동성과 다양성’이란 제목으로 글을 남겼다.
그는 “새 지도부가 균형보다는 집중에 무게가 실린 구성인 것은 객관적 사실”이라면서도 “그러나 그 역시 당원의 선택이다. 마땅히 존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다고 해서 대선 경선 결과까지 이미 정해진 듯이 말하는 것은 지나친 예단”이라면서 “이 당이 그렇게 정해진 길로 쉽게 가는 당이 아니다. 제가 만나 본 당원들의 뜻도 그렇지 않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민주당의 생명은 역동성과 다양성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당이 대세론에 빠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대세론은 무난한 패배의 다른 이름이다. 치열해야 하고 감동적이어야 한다. 이대로 평이하게 가면 호남을 설득하지도, 중간층을 끌어오지도 못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대선 경선 출마를 준비해왔다며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소위 제3지대론은 관심 없다”면서 “여기서 안 되면 저기 가고, 저기서 안 되면 또 다른 데로 가는 게 무슨 제3지대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최소한 신당을 하려면 국민들이 공감할 대의명분이 있어야 한다. 저는 당내에서 싸우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지난 총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에서 수성구갑에 출마해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를 꺾고 31년 만에 대구 지역에서 야당 의원이 배출되는 이변을 일으켰다. 이후 김 의원은 야권의 대선주자로 거론돼 왔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