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가 최근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 인사들과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김종인 더민주 전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종인 더민주 전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연합뉴스
지난 17일 출국해 20일 귀국한 김 전 대표는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 현지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파악하고 돌아왔다”면서 “트럼프 인맥이 없어서 트럼프 당선인과 연관이 있는 사람을 찾아보겠다고 간 것이고 찾고 왔다”고 밝혔다. 다만 누구를 만났는지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김 전 대표는 공화당 출신의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을 포함해 트럼프 당선인측 인사들과 일부 인연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17일(현지시간) 뉴욕에서 키신저 전 국무장관을 만나 외교·안보에 관한 자문을 구하기도 했다.
김 전 대표는 당초 지난 14일 2박 3일간 중국·러시아 방문길에 오를 예정이었다. 하지만 공항까지 가서 돌연 취소하자 일각에서 ‘거국 중립내각 총리’ 역할을 제안받은 것 아니냐는 소문이 흘러나왔다. 이 때 김 전 대표는 “개인적 사정”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 개인적 일정이 바로 트럼프 측 인사와의 만남이었다고 한다.
당 핵심 관계자는 “정치권내에 트럼프 인맥이 마땅하지 않은 상황에서 김 전 대표의 이번 방문은 트럼프측 인사들과의 스킨십을 늘리는 차원으로 보면 된다”면서 “이번 방문을 계기로 ‘트럼프 시대’에 대비하는 작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트럼프 당선 당시 “트럼프가 선거기간 표를 얻으려고 헛소리를 많이 했지만, 미국이라는 나라가 대통령이 당선되면 대통령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나라가 아니다”라면서 “크게 염려 안 해도 된다”고 말한 바 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