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2018.1.31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2018.1.31 연합뉴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달 29~31일 전국 성인 15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2.5%포인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해 ‘잘한다’고 평가한 응답자는 62.6%로 나타났다. 지난주 주간집계보다 1.8%포인트 오른 수치다.
문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60%대 밑으로 떨어진 1주일 전 국정 지지율 59.8%와 비교하면 2.8%포인트 올랐다.
‘잘 못 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1.0%포인트 떨어진 33.6%로 나타났다.
이번 반등은 20대 지지율이 상당한 폭으로 오른 데 힘입었다. 20·30대 청년층과 40대에서 모두 70%대를 기록했다.
리얼미터는 “가상화폐와 평창올림픽 남북 단일팀 등의 정부 정책 논란, 새 정부에 대한 기대 효과와 이전 정부의 실정에 따른 기저 효과의 약화가 겹치면서 나타난 지난 2~3주 동안의 급격한 지지층 이탈 양상이 진정 국면으로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70.7%·6.4%포인트↑), 50대(60.5%·5.9%포인트↑), 40대(74.3%·4.2%포인트↑)에서 올랐다.
반면 60대 이상(42.4%·4.2%포인트↓)과 30대(71.6%·1.9%포인트↓)에서는 하락했다.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