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싱가포르 투트랙 북미 실무협상… 靑 “美와 매일 소통”

판문점·싱가포르 투트랙 북미 실무협상… 靑 “美와 매일 소통”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5-29 14:31
수정 2018-05-29 14: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북미 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성과에 연동’ 어제 입장 반복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두 번째 정상회담을 마친 후 청와대의 시선은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대좌를 준비하는 북미 실무접촉에 쏠려 있다.

북한과 미국의 신경전 속에 꺼져 들어가던 회담의 불씨를 문 대통령이 살려놓았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이제 비핵화 정세를 좌우할 주체는 전적으로 북미로 넘어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북미는 다음 달 12일에 북미정상회담을 예정대로 개최하고자 ‘투트랙’으로 밀도 있는 실무협상을 진행 중이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성 김 주필리핀 미국대사 등 북미 양국의 북핵 협상가 간 의제 협의는 지난 27일 판문점에서 시작됐다. 28일 하루 ‘숨 고르기’를 한 협의는 이르면 29일 재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의전·경호·세부일정 및 장소 등을 논의할 또 다른 북미 간 실무접촉도 이날부터 싱가포르에서 열린다.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과 조 헤이긴 백악관 부(副)비서실장은 정상회담 준비의 실무 대표단 단장 자격으로 하루 전인 28일 각각 싱가포르에 입국했다.

AP 통신은 두 개의 트랙에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중앙정보국(CIA) 국장 시절 만든 ‘CIA 팀’이 별도의 트랙으로 북한 당국과 사전 협상에 나서고 있다고 보도해 실제로는 ‘쓰리트랙 실무접촉’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29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북미 간 접촉이 제한적으로 이뤄질 때와는 다르게 공식 채널에서 모든 문제를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논의하고 있어 지금은 그 결과를 예의주시하는 게 순서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청와대는 유독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북미정상회담이 성공하면 이어서 남북미 정상회담을 성사시켜 종전선언까지 끌어낸다는 구상이 있긴 하지만 북미 간 협상에 개입하는 듯한 인상을 주면 전체 ‘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일부 우려를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문 대통령이 싱가포르에 가는가’라는 물음에 ‘남북미 정상회담은 전적으로 북미정상회담 성과에 연동돼 있다’는 전날의 입장을 반복, 현 상황과 관련한 새로운 언급을 삼갔다.

청와대는 다만, 북미 간 실무접촉의 진행 상황은 물밑에서 양측과 긴밀하게 공유하며 언제 발생할지 모를 변수에 대비하는 동시에 북미정상회담 이후의 대응 등도 계획 중인 것으로 보인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 전 기자들과 만나 ‘성 김 주필리핀 미국대사를 만날 계획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받고 “미국과는 매일 소통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