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의 쇄신을 위해 영입된 김병준(왼쪽) 비상대책위원장과 김 위원장이 인적쇄신을 위해 영입한 전원책(오른쪽) 조직강화특별위원 사이에 미묘한 긴장이 흐르고 있다. 겉으로는 ‘한배’를 탄 두 사람 간 주도권 경쟁이 신경전을 넘어 권력투쟁으로 비화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마저 나온다.
김 위원장은 25일 국회에서 기자들에게 “나는 정부에도 있어 봤기 때문에 되도록 구별해서 얘기를 한다”며 “그런데 전 위원의 경우 평론가 내지는 학자로서 의견을 피력하는 부분과 특위 위원으로서 피력하는 부분이 구분이 잘 안 돼 있어 혼란이 많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나 같은 사람은 전 위원의 발언이 특위 위원으로서 한 건지, 평론가로서 한 건지 바로 느끼는데 일반 국민은 잘 느끼지 못한다”며 “이런 부분에 대해 전 위원과 앞으로 많은 얘기를 할 것”이라고 했다. 전 위원을 향한 경고성 메시지로 풀이된다.
전 위원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개인 의견을 밝혀 논란을 일으켰다. 한국당 지도부는 보수 결집을 위해 ‘집단지도체제’ 복원을 추진 중이지만 전 위원은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전 위원은 ‘태극기부대’에 대해 “극우가 아니다”라며 포용 가능성을 시사했다.
일각에서는 당 쇄신을 위해 영입된 김 위원장이 정작 혁신의 핵심인 인적쇄신 작업을 또 다른 외부인사인 전 위원에게 넘기며 화를 자초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전 위원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김 위원장이 어떤 상황에서 어떤 뜻으로 그런 말을 했는지 정확히 모른다”며 “답을 하고 싶지도 않고, 어떤 말을 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이런 진통은 수도 없이 있을 텐데 그저 지켜봐 달라”고 했다.
이근홍 기자 lkh2011@seoul.co.kr
2018-10-2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