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분초 아껴쓰는’ 한미 정상회담 1박3일 강행군

문 대통령, ‘분초 아껴쓰는’ 한미 정상회담 1박3일 강행군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19-04-07 19:03
수정 2019-04-07 19: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일 도착, 11일 회담 후 바로 귀국길...“북 대화 복귀 위한 레버리지 초점”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0일 취임 후 다섯 번째 미국 방문길에 오른다. ‘하노이 핵담판’ 결렬 이후 북미 비핵화 대화를 한미 정상이 ‘톱다운’ 방식으로 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한 1박 3일 공식 실무 방문이다.

10일 오후 워싱턴에 도착해 11일 정상회담을 마친 후 바로 귀국길에 오를 만큼 물리적으로도, 내용상으로도 분초를 아껴 쓰는 일정이다. 김정숙 여사는 멜라니아 여사 초청으로 별도 일정을 갖게 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7일 “세부 일정은 조율 중이지만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복귀시킬 수 있는 ‘레버리지’를 만들기 위한 담판, 즉 단독정상회담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밝혔다.

‘굿 이너프 딜’(충분히 좋은 거래)로 표현되는 초기단계 비핵화 및 상응 조치 조합을 포함해 ‘포괄적 합의·단계적 이행’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유연한 태도를 이끌어 내는 데 성패가 달렸다.

의제 조율차 미국을 방문했던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이 지난 5일 “금강산관광이나 개성공단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이뤄지지 않았다”면서도 “이런 다른 어젠다나 이슈에 대해서는 정상 사이에 좀더 심도 있게 얘기를 할 예정”이라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다.

지난해 5월 말에도 문 대통령은 1차 북미 정상회담(6월 12일)을 코앞에 두고 워싱턴을 찾았다. 1박 4일 일정이었지만 체류시간은 25시간 남짓하고 공군 1호기에 머문 시간이 더 길었다.

이전 대통령 중 워싱턴에서 1박짜리 초단기 일정을 소화한 건 노무현 전 대통령이 유일했다. 2005년 6월 6자회담 재개 및 한미 갈등, 북핵 문제를 다루고자 1박 3일 일정으로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을 만났다. 1987년 개헌 이후 재임 중 한미 정상회담은 평균 8.2회였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벌써 일곱 번째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