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형 사퇴’ 현실화에 바빠진 주자들…국힘은 경선룰 고민

‘최재형 사퇴’ 현실화에 바빠진 주자들…국힘은 경선룰 고민

입력 2021-06-27 17:33
수정 2021-06-27 17: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윤석열 전 검찰총장 & 최재형 감사원장
윤석열 전 검찰총장 & 최재형 감사원장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오랫동안 ‘러브콜’을 보냈던 최재형 감사원장이 28일 전격 사퇴하면 야권 대선 판도도 출렁일 전망이다. ‘X파일’과 ‘전언정치’ 논란에 휩싸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대체제’로 꼽히는 최 원장의 등판 가능성이 커지면서 다른 장외주자들의 발걸음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 원장과 윤 전 총장 등은 대권도전의 명분과 국민의힘 입당 여부를 둘러싼 현실 사이에서 고심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최 원장의 행보에 정치권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 원장 측은 통화에서 대선 도전 여부를 두고 “인지도가 낮아 지지율이 빠르게 올라갈 수 없는 상황이라는 판단”이라며 “고민을 좀 더 해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헌법기관장의 정치권 직행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위해 당장은 시간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사퇴 즉시 대권 도전을 공식화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월성원전 1호기 경제성 평가 감사과 김오수 검찰총장의 야인 시절 감사위원 선임을 반대하며 ‘반문(반문재인)’ 이미지를 쌓았지만, 역설적으로 정치적 의도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구심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지율 5%를 넘기지 못한 인지도로 시작하는 최 원장은 실패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결심을 굳힌다면 국민의힘 합류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

29일 출마선언을 예고한 윤 전 총장은 광화문 이마빌딩에 캠프 사무실을 마련하고 당분간 독자노선을 걸을 태세다. 그러나 최 원장이 급부상하는 데다, 국민의힘 당내 주자들의 지지율도 상승세를 타면서 고민이 적지 않아 보인다. X파일 등을 두고 여권의 의혹 제기는 물론, ‘윤석열 저격수’를 자처한 홍준표 의원이 복당과 함께 파상공세를 펼치면서다. 사퇴 후 처음 전면에 나서는 29일 메시지에 따라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의 결단 시기도 관심거리다. 대중 노출을 늘리면서 인지도를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지만, 여·야 경계에서 어정쩡하게 ‘체급’을 높이려는 듯한 상황이 길어지는데 따른 정치권의 피로감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후보군이 두터워지자 국민의힘은 반색하고 있다. 다만 ‘경선 룰’을 두고는 셈법이 복잡하다. 당헌·당규상 대선 경선은 당원 투표 50%와 일반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결정한다. 장외 주자들이 불리할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외부인을 품겠다고 갑자기 뜯어고치는 것이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면서 “입당해 당내 세력을 빠르게 흡수하던지, 막판 야권 단일화로 가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