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영정 앞 ‘거수경례’…분향소 설치한 보수단체[포착]

전두환 영정 앞 ‘거수경례’…분향소 설치한 보수단체[포착]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2-11-23 16:17
수정 2022-11-23 16: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두환 유해 1년째 연희동에

이미지 확대
보수단체가 2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전두환씨 사망 1주기를 맞아 분향소를 설치한 후 추모하고 있다. 2022.11.23. 뉴시스
보수단체가 2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전두환씨 사망 1주기를 맞아 분향소를 설치한 후 추모하고 있다. 2022.11.23. 뉴시스
이미지 확대
보수단체가 2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전두환씨 사망 1주기를 맞아 분향소를 설치한 후 추모하고 있다. 2022.11.23. 뉴시스
보수단체가 2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전두환씨 사망 1주기를 맞아 분향소를 설치한 후 추모하고 있다. 2022.11.23. 뉴시스
이미지 확대
보수단체가 2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전두환씨 사망 1주기를 맞아 분향소를 설치한 후 추모하고 있다. 2022.11.23. 뉴시스
보수단체가 2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전두환씨 사망 1주기를 맞아 분향소를 설치한 후 추모하고 있다. 2022.11.23. 뉴시스
이미지 확대
보수단체가 2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전두환씨 사망 1주기를 맞아 분향소를 설치한 후 추모하고 있다. 2022.11.23. 뉴시스
보수단체가 2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전두환씨 사망 1주기를 맞아 분향소를 설치한 후 추모하고 있다. 2022.11.23. 뉴시스
보수단체가 23일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고 전두환씨 1주기를 맞아 분향소를 설치했다. 이들은 분향소 설치 후 영정 앞에서 거수경례를 하며 전씨를 추모했다. 전씨는 지난해 11월 23일 악성 혈액암인 다발성 골수정 확진 판정을 받고 투병 중 연희동 자택에서 숨졌다.

전씨의 유해는 여전히 서울 연희동 자택에 임시 안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자택에는 전씨 부인인 이순자씨가 살고 있다.

전씨는 생전 회고록에서 ‘북녘땅이 내려다보이는 전방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 통일의 날을 맞고 싶다’고 쓴 바 있다. 이에 유족 측은 고인의 뜻에 따라 화장을 한 뒤 휴전선과 가까운 곳에 안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군 주둔지인 전방 고지에 유해를 안장하기 위해서는 정부 측이나 관할 지자체, 필요시에는 군부대나 산림청과 협의를 해야 한다.

전씨는 내란죄와 외환죄로 실형을 받았기 때문에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다. 전씨 측은 전씨가 근무했던 군 시설 지역 중심으로 몇 군데 알아보고 있지만 땅 소유주와 제대로 접촉이 안 돼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유족도 안장을 서두르지 않는 입장이라 올해 안에 전방 고지 안장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