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대변인, 북러 무기거래 정황 비판
조중통 “러 외무상 10월 18∼19일 공식 방문”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이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에서 “북한은 그동안 여러 차례 러시아와 무기거래에 대해 부인해 왔으나 관련 정황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구 대변인은 이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인 북한과 무기거래가 중단돼야 한다면서 “특히 러시아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앞서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북한이 지난달 러시아에 군사 장비와 탄약을 보냈고, 러시아도 북한에 물자를 지원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소리(VOA) 방송도 지난 15일 상업위성서비스 ‘플래닛랩스’의 위성사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난 8월 26일부터 이달 14일 사이 북한 나진항 부두에 대형선박이 최소 4척이 드나들고 수백개 컨테이너가 옮겨지는 장면이 포착됐다고 보도했다.
양국 무기거래가 사실이라면 이는 북한의 모든 무기와 관련 물자 수출을 금지하고, 자국 선박을 사용해 북한으로부터 무기와 관련 물자를 조달받는 것을 금지한 안보리 결의 1874호 위반에 해당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9월 13일(현지시간) 러시아 극동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의 초청에 의하여 로씨야련방(러시아) 외무상 세르게이 라브로프 동지가 2023년 10월 18∼19일 우리나라를 공식 방문하게 된다”며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방북을 공식 발표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외교 카운터파트인 최선희 북한 외무상과 회담을 할 전망이며, 이를 통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평양 답방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 수장끼리 북러 추가 협력 방안을 논의한 뒤 푸틴 대통령의 북한 답방으로 양국 밀착이 정점에 이르는 모양새가 연출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 계획은 아직 없다고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이 최근 밝힌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