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왼쪽) 대통령과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의 만남, 성사될까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8일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 전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한다. 박 대통령에게 ‘배신자’ 낙인이 찍힌 유승민 의원도 참석하는 만큼 오랜만에 재회하는 두 사람이 어떤 장면을 연출할지 주목된다. 유 의원이 지난해 원내대표직에서 사퇴한지 꼭 1년 만의 만남이다. 서울신문DB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8일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 전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한다. 박 대통령에게 ‘배신자’ 낙인이 찍힌 유승민 의원도 참석하는 만큼 오랜만에 재회하는 두 사람이 어떤 장면을 연출할지 주목된다. 유 의원이 지난해 원내대표직에서 사퇴한지 꼭 1년 만의 만남이다.
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유 의원은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의원 전원을 대상으로 초청한 오찬에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법 개정안 문제를 놓고 박 대통령과 갈등을 빚다 ‘배신자’ 낙인이 찍혀 지난해 7월 8일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난 유 의원은 20대 총선 공천 과정에선 친박(친박근혜)계의 낙천 압박 속에 결국 탈당했다가 최근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의 결정으로 복당했다.
비록 박 대통령의 새누리당 의원들과 만나지만 당 소속 의원 전원이 참석 대상이어서 박 대통령과 유 의원이 마주칠 기회가 아예 없을 수도 있다는 게 여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지난해 국회법 파동 당시 박 대통령은 유 의원이 국회에서 정부 시행령 수정이 가능하도록 한 국회법 개정안의 처리를 야당과 합의한 점을 ’배신의 정치‘로 규정했다. 그러자 ‘친박’(친박근혜)계와 청와대는 ‘정체성’ 문제를 거론하며 곧바로 유 의원의 사퇴를 압박했다.
그러자 유 의원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임을 천명한 우리 헌법 1조 1항의 지엄한 가치를 지키고 싶었다”는 ’뼈 있는‘ 말을 남기고 취임 다섯 달 만에 중도 하차했다. 이후 유 의원은 지난 20대 총선 공천에선 친박계가 그의 탈당을 사실상 압박하면서 결국 당을 떠나 무소속 출마를 선택했다.
이렇게 친박계의 ’표적 제거‘ 작전을 뚫고 다시 당으로 돌아온 유 의원은 결국 박 대통령과 다시 묘한 인연의 끈을 이어가게 됐다.
박 대통령과 유 의원의 본격적인 인연은 박 대통령이 옛 한나라당 대표 시절 그를 자신의 비서실장으로 발탁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2007년 대선후보 경선 당시 핵심 참모로 활약하는 등 박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자리를 굳혔지만,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당이 운영된 2011년을 전후해 박 대통령과의 사이에 조금씩 균열이 생겼다.
당내에서는 이때부터 유 의원이 박 대통령의 행보에 대해 서슴없는 ’직언‘을 했던 점이 둘의 사이를 멀어지게 한 결정적 원인이라는 얘기가 많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