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후진타오 정상회담 전망
다음 달 19일로 예정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미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한반도 긴장이 소강 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미국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한반도 상황 악화를 원치 않는 중국이 북한에 대해 추가 도발을 자제하도록 일정부분 역할을 행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천안함 침몰사건에 이은 연평도 포격 사건으로 악화일로를 치닫던 미·중 관계가 지난 1주일 사이 우호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진단도 잇따르고 있다.
NYT와 WP에 따르면 최근 며칠 동안 미 행정부 고위당국자들은 다이빙궈 중국 국무위원의 지난 9일 방북을 거론하면서 북한이 한국의 사격훈련에 대응하지 않도록 자제시킨 중국의 역할을 높이 평가했다.
또 중국이 연평도 포격 이후 제안했던 6자회담 수석대표 긴급회동 대신 6자회담 재개 전 남북관계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는 미국의 입장을 수용한 것에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신문들은 전했다.
미국은 중국의 대북정책 변환의 근거로 최근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이 “남북한 간에 대화와 접촉을 가져야 한다.”고 촉구한 발언을 들고 있다. 또 러시아 외무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 남북한 간의 접촉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공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NYT는 미 정부 고위당국자의 말을 인용, “중국이 남북관계 개선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은 대북 접근에서 북한을 제외한 5자가 한목소리를 낸다는 차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기류를 바탕으로 미 국무부 주변에선 미국과 중국이 최근 고위급 접촉들을 통해 한반도 문제 대응에 있어 접점을 도출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연평도 사건 이후 최고조로 달했던 남북 대치 상황이 완화되면서 남북관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미국과 중국이 외교력을 동원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NYT는 “제임스 스타인버그 국무부 부장관과 제프리 베이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보좌관이 조만간 한국을 방문해 북한의 유화 제스처에 대한 평가와 함께 대화 국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일각에선 북한의 행동 변화에 따라 북·미가 직접 접촉할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그러나 거기까지 가기에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미국은 북한이 한국을 거치지 않고, 즉 한국의 우려와 요구사항들에 상응한 행동을 보이지 않고서는 북·미 간 직접 대화나 관계개선은 요원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미·중 정상회담 때까지 최대한 한반도를 소강국면으로 묶어 두는 한편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중국의 역할과 관련해 미·중 양국이 일정 수준 조율과정을 거친 뒤 본격적인 한반도 해법을 모색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12-2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