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사드는 비공개로만 언급… 韓·中 대립보다 우호에 방점

시진핑, 사드는 비공개로만 언급… 韓·中 대립보다 우호에 방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16-09-05 22:54
수정 2016-09-06 0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드 못 좁혔지만… 협력엔 공감한 두 정상

5일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 결과는 한국 입장에서 최선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최악도 아닌, ‘나쁘지 않은’(not bad) 수준으로 평가된다. 좀더 적극적으로 평가한다면, 현 시점에서 한국이 얻어낼 수 있는 최대한을 얻어낸 회담이란 평가도 가능해 보인다.

이미지 확대
마주한 韓·中
마주한 韓·中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5일(현지시간) 오전 중국 항저우 서호 국빈관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항저우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물론 양측은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기존 입장을 고수했고, 접점은 없었다. 하지만 국민의 생명이 걸린 안보 이슈는 어느 나라나 양보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접점을 찾는 게 애초부터 불가능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특히 중국 입장에서 사드 배치는 미국과의 패권경쟁적 성격이 강해 한·중 관계와 별개로 양보하기 힘들었을 것이라는 분석도 곁들여진다.

따라서 한·중 관계의 현주소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사드에 관한 이견 자체보다는 두 정상이 회담 분위기를 어떻게 가져갔는지에 ‘청진기’를 대 볼 필요가 있다. 먼저 두 정상은 언론에 공개되는 모두발언에서는 사드 얘기를 일절 꺼내지 않았고, 협력과 우정을 강조하는 덕담만 교환했다.

두 정상은 불편한 이슈인 사드는 비공개 회담에서 언급했다. 결국 양측이 겉으로 보여 주고 싶은 것은 갈등이 아니라 우정이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사드가 언급된 비공개 회담 분위기 역시 웃음이 오간 정도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언쟁이 오가는 험악한 분위기도 아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특정 이슈를 놓고 주장을 치고받는 식이 아니라, 한쪽 정상이 모든 이슈에 대해 입장을 한꺼번에 얘기하고 나면 다른 한쪽 정상도 자신의 입장을 한꺼번에 얘기하는 식이었다”고 밝혀 토론이라기보다는 서로의 입장을 듣는 형식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 관계자는 “정상 차원에서 직접 사드 문제에 관해 서로의 입장을 진솔하게 나눈 게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 특히 회담에서 두 정상은 ‘한·중 관계 발전은 역사적 대세이며 되돌릴 수 없는 것’이라는 데 공감했다고 한다.

중국으로서는 한국의 위상과 가치로 볼 때 척을 지는 것보다는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게 유리하다는 판단을 일단 내린 것으로 보인다. 회담에서 중국이 보복 운운하지 않은 것도 양국 관계를 현 수준에서 적절히 관리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따라서 앞으로 양국 관계는 사드를 놓고는 대립하되 나머지 이슈에서는 협력하는 쪽으로 흐를 전망이다. 예컨대 미·중이 남중국해 문제 등을 놓고 대립하면서도 경제 등 다른 분야에서는 협력과 경쟁을 하는 식이다.

물론 사드 말고는 별로 대립할 이슈가 없는 한·중 관계는 미·중 관계보다는 더 우호적일 가능성이 높다. 결국 지병(사드)은 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고 운동과 식이요법을 게을리하지 않으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게 향후 한·중 관계라고 비유할 수도 있다.

항저우 김상연 기자 carlos@seoul.co.kr
2016-09-0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