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러슨 美국무 “대북정책 실패… 북핵 새 접근법 필요”

틸러슨 美국무 “대북정책 실패… 북핵 새 접근법 필요”

입력 2017-03-16 22:42
수정 2017-03-17 02: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日 방문… 기시다 외상과 회담

中 “틸러슨과 북핵 의제로 논의”
한·미 “中 사드 반발 대응 공조”

일본을 방문 중인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16일 “북한의 위협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북한에 대한 미국의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회담 후 “그동안 미국이 펼쳐온 대북 정책에도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은 오히려 커지고 있다”며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대응에 미·일, 한·미·일의 협력 강화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의 화춘잉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을 통해 “중국을 방문하는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과 북핵 문제를 주된 의제로 논의할 것”이라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한·미 양국과 북한이 대화 테이블에 앉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주중 북한대사관은 “한반도 불안을 야기하는 한·미 연합훈련을 용납할 수 없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결의는 법률적,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북한의 위협에 대해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5일(현지시간) 북한의 추가 도발이 언제든 있을 수 있다고 평가하고 이에 양국이 단호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양측은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해결과 공조를 강화하기 위한 양국 외교 안보 당국 간 각종 협의채널을 더욱 활발하게 가동하기로 했다. 김 실장은 이날 오후 워싱턴DC 백악관을 방문해 맥매스터 보좌관과 1시간 20분에 걸쳐 첫 회동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김 실장은 워싱턴 인근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의 정치적 혼란기에 따른 안보 공백 우려에 대해 “안보는 정치와는 큰 상관이 없다”며 “현재 안보 담당자들이 책임을 지고 대비 태세를 갖춰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이어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해 “사드는 계획대로, 절차대로 진행 중”이라며 “동맹 간 공조해 중국의 반발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만 중앙통신은 홍콩 중국인권민주화운동정보센터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군 3000명이 지난 13일부터 철도, 차량을 이용해 북한과의 국경 방면으로 이동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또 중국 정부가 북한 인접 지역에 설치한 4개의 방사능 관련 환경감측소를 24시간 가동해 북한 핵실험 동향에 대한 감시에 들어갔다고 덧붙였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7-03-1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